김준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김준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가? 첫째 도시는 정보기술의 집합체라기보다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공간이다.  먼저 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고 더 쾌적하게 느끼기 위해서는 먼저 주민들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주민들이 바로 이러한 기술들의 소비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력이 없이 아름다운 이상향을 세워 만든 들 주민이 어떻게 활용할 수가 있겠는가. 우리 몸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주로 공급자 즉 정보기술 업체가 대부분 사업을 주도한다는 사실이다. 

주로 이들 업체는 당연히 자신들의 장비를 파는 것이 목적이다. 그래서 처음부터 장비 위주의 사업이 진행되기 십상이다. 이러한 이유는 시 담당 공무원 역시 이 분야에 전문성이 없다 보니 업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업체 입장에서는 보여주기식 단기효과를 위해서 번쩍 번쩍한 장비를 깔아 놓는 것 만큼 효과적인 게 없기 때문이다. 

셋째, 설령 엄청난 예산을 들여 장비를 곳곳에 설치한다 해도 유지보수 등 관리 비용이 상당하다.  만약 유지 관리 예산이나 인력이 부족하면 결국 설치된 장비는 흔히 곧 무용지물이 되기 마련이다. 

넷째, 소위 시스템 및 서비스 통합이라는 것인데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각종 서비스와 연계돼 주민들이 복잡함을 느끼지 않고 쉽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간단히 고객이 일일이 행정이나 금융서비스를 받기 위해 관청이나 기관에 갈 것이 아니라 누구나 쉽게 처리가 가능하다면 좋을 것이고, 교통 통제가 잘 이뤄져서 교통 혼잡이 없이 출퇴근할 수만 있다면 좋을 것이다.

미래에는 자율자동차가 우리를 목적지까지 편안히 모셔다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수 많은 시스템과 여기에 법과 규범 등이 목적에 맞도록 같이 바뀌어야만 한다.  

이러한 사회적, 법리적 보완 없이 수많은 장비만 깔아 놓는다고 주민이 편안해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오히려 너무 복잡해서 피하기 마련이다. 

외국에서 흔히 하는 원격진료가 아직 우리는 국회에서 시도도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아무리 큰 비용을 들여 첨단 시스템을 깔아 논들 이는 결국 반쪽에 지나지 않는다. 오히려 결과적으로 값비싼 장비들로 도시를 가득 메우는 일들만 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먼저 아무리 실적이 필요해도 미래 도시에 대한 인문학적 고려를 통한 마스터 플랜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주민에 대한 분석을 포함해 미래의 필요한 서비스 그리고 기존 서비스의 통합연구 등을 면밀히 살펴야 할 것이다. 이때 필요하면 조례나 규정 등을 미리 바꿔야 할 것이고 어쩌면 시민 참여나 시민에 대한 사전교육 역시 필요하다. 

이러한 기본여건이 마련되면 우선 순위를 정해 사업을 정하고 여기에 따라 관련 구축기업을 선택해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주민의 수준에서 설계가 돼야 하고 구현돼야 한다. 결국 소비자가 주민이기 때문이다. 이런 형태가 돼야 주민을 위한 스마트 시티가 되는 것이지 흔히 관급 정보화 사업에서 벌어지듯 장비 업체가 장비만 깔아 놓고 떠나면 결국 우리에게 남는 것은 장비 무더기밖에 없다는 것이다.  

어차피 스마트 시티는 우리가 가야할 미래의 도시이다. 이 미래 도시도 역시 지금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살아가야 하는 곳이고 우리가 소비해야 하는 곳이다. 우리 즉 시민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없이 외국의 몇몇 사례를 보고 스마트 시티 구축 운운하는 것은 큰 비용만 낭비할 뿐이다. 따라서 시 역시 많은 세금을 들여 사업의 성급한 실행보다는 스마트 시티가 과연 우리에게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에서부터 논의가 시작돼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