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지부진했던 내항 재개발사업의 물꼬가 트일 전망이다. 국토교통부가 기존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수정·발전시켜 새로 내놓은 ‘도시재생혁신지구’ 제도를 통해서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개정에 따라 오는 28일부터 도시재생혁신지구 제도를 시행한다. 이는 주민체감형 도시재생 확대를 위한 것으로, 민간이 아닌 공공이 나서 생활인프라 확충 및 지역 특성에 맞는 재생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뉴딜사업보다 속도감 있는 지역 재생이 가능할 것이라는 게 시의 기대다.
국토부는 도시재생혁신지구 도입에 앞서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운영 계획을 지자체에 안내하고 지난 19일 가이드라인을 배포했다. 올해는 3곳 내외로, 2020년에는 5곳 내외로 국가시범지구를 지정해 운영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참여를 원하는 지자체는 다음 달 2일까지 관련 서류를 준비해 제출해야 한다.
시는 올해 국가시범지구로 내항 1·8부두를 포함한 중구 항동 일대를 지정해 신청할 계획이다. 가이드라인에 따라 중구가 산업·상업·주거·복지·행정 등 주요 기능이 모여 있고, 재생 자원이 많은 지역이라는 판단이다. 발표 시기는 오는 12월 말께로, 국가시범지구로 선정되면 최대 250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문제는 시간이다. 가이드라인 배포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짧은 기간 재생 콘텐츠를 검토·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항만·재생·문화 등 시 관계 부서가 모두 머리를 맞대고 국내외 우수 사례 수집 및 콘텐츠 발굴에 나선 상황이다.
일단 시는 대표적으로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만 재생사례를 눈여겨보고 있다. 로테르담은 과거 조선회사인 ‘RDM’이 파산하면서 로테르담항만공사가 소유한 시설과 부지 활용 방안을 고민해야 했다. 그 결과 이 지역은 로테르담도시공사와 로테르담대학의 투자로 기술대학 거점의 RDM 캠퍼스로 탈바꿈했다. 실험 및 제조가 필요한 기술대학 특성상 캠퍼스 조성에는 큰 건물과 넓은 부지가 필요해 이해관계가 맞았다. 특히 바로 주변에 주거지역이 있어 단순히 캠퍼스 조성뿐 아니라 지역 제조업 및 경제의 부활을 이끈 사례로 평가받는다.
시 관계자는 "이 사례는 항만재생사업이 산업뿐 아니라 일자리 및 혁신과도 연결돼야 하고, 공공성이 곧 지속가능성이라는 것을 시사한다"며 "국토부가 최초 국가시범지구 신청에 한해서는 주민 및 의회 의견 청취 결과 등 미비 서류를 최종 평가 전까지 보완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다음 달 6일 주민과 관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도 열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KIHO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