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창덕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임창덕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농업과 다양한 산업이 융복합되고 있다. 최근에는 농업과 복지를 접목한 치유농업, 치유농장(케어팜, 소셜팜)이 각광받고 있다.

원예, 산림, 동물 등을 매개로 다양한 치유농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자연환경을 활용한 치유, 농장체험, 지역문제 해결, 장애인 재활 등의 목적으로 운영된다.

실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도입한 결과, 불안감과 우울감, 공격성을 낮추고, 농사체험과 꽃을 가꾼 노인들은 우울감과 같은 정신적인 감정이 완화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제는 먹고 살기 위한 생산적 농업에서 사회적 농업으로의 전환되고 있다.

사회적 농업은 현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다. 

‘사회적 농업’이란 농업활동을 통해 노인이나 장애인 등 사회취약 계층의 사회 적응을 돕고 고용 등을 통해 사회통합을 유도하는 농업을 말한다. 

취약 계층에게 교육·돌봄·일자리 등을 제공한다. 

지난해부터 정부는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을 통해 사회적 농장을 선정하고, 활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운영 및 네트워크 구축비를 지원하고 있다.

선정된 농장의 운영 형태를 보면 농촌정착, 장애아동 재활, 노인 일자리와 귀농인 정착, 가정폭력, 성폭력 등 범죄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 및 경제적 자립 등 농업과 복지를 연결하고 사회를 통합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케어팜의 경우 복지 선진국인 네덜란드는 건강보험체계에 의거 비용이 지원되고, 농가소득 모델로 자리를 잡은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농장 체험비, 시설비 지원 수준이라 활성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한편, 지자체의 ‘돌봄 농장 육성 지원 사업’,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보급과 사업화, 전문 인력 양성 지원 등을 목적으로 하는 ‘치유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 발의 등 농촌의 자원을 활용을 위한 정책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일련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팜스테이 마을이 이러한 사회적 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농업에 다원적 기능에 기반을 둔 다양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에는 다른 나라처럼 서비스 제공으로 농가소득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 지자체, 관련 단체 등 관계망 형성, 전략 발굴,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며 농업 활동과 치유 등 서비스를 결합해 신체적·정신적 회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 의료재정 지원, 병의원 연계, 각종 사회 프로그램 등 지원이 필요하다. 케어팜의 경우 건강보험체계로 지원을 한다면 요양원의 부정적 인식 해소는 물론, 신체적, 정신적 치유를 얻는 대안 복지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제 농업과 농촌은 사회적 농업으로 사회의 통합적 역할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사회적 농업에 대한 인식 변화,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도시와 농촌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 지원 등 사회적 농장 확대가 있어야 한다. 

농협에서는 농장 조성에 필요한 자금지원 제도 마련과 농촌 유휴시설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해 보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