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항은 컨테이너물동량을 비롯한 벌크화물까지 감소하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 이와함께 국내·외 물류기업 유치를 통해 인천항을 고부가가치화물 중심 항만 및 국제적인 물류중심기지로 육성하기 위한 사업마저 암초에 부딪쳤다. 이는 인근지역민들의 집단민원으로 답보상태에 놓였기 때문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남항 인근 역무선 배후부지 등 39만6천175㎡의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 마저도 민·민갈등으로 번지면서 진통을 겪고 있다. 이 모두가 인천항의 물동량 감소추세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인천항 운영주체인 인천항만공사는 내년 6월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시기에 맞춰 원활한 물류흐름을 위해 인근 아암물류2단지 내 화물주차장 및 휴게실 조성과 컨테이너 야적장 조성계획을 수년전부터 적극 추진해왔다.

이곳은 정부가 수립한 국가계획에 따라 인천항 육성을 위해 지정 조성된 항만배후단지로 항만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물류시설임에는 틀림없다.

인천항 중고차 수출을 위한 스마트 오토밸리도 인천항만중장기계획에 포함된 것 또한 분명하다. 중고차의 경우에는 인천항이 전국 수출물량중 88%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들어 수출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지난해보다 35%이상 늘어났다.

하지만 조만간 현 중고차단지 폐쇄를 앞두 있다. 이를 놓고 군산 및 평택 등 타항만에서는 중고차수출단지 조성을 위한 배후부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인천항 중고차 수출단지의 시급성을 반증하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천항의 모든 개발은 정부의 계획에 의해 추진된다는 점이다.  때문에 정부와 인천시가 적극나서 주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한다. 항만시설로 인한 피해여부를 판단해 이에 걸맞는 혜택을 준다든지 선진화시설을 통한 주거환경개선 등 기능을 다양화한 지역경제활성화에 따른 정책적 대안이 필요한 것이다.

주민들 또한 인천항 활성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지역 활성화에  적극 나서는 자세도 중요하다 하겠다. 인천항은 인천지역경제의 34%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인천항이 살아야 인천이 산다. 인천항은 인천국제공항과 이어지는 교통 인프라로 글로벌 물류수송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동북아시아권 및 수도권의 물동량 확보와 공급을 위한 최적의 여건을 갖췄기 때문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