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을 강조해온 박남춘 시장의 업적 중 하나를 꼽는다면 ‘온라인 시민청원’ 제도를 들 수 있다. 시민의 목소리를 무겁게 듣고 시정에 반영하겠다는 의도로 시행한 지 이제 1년을 넘겼다. 3천 건 이상을 얻은 민원에 대해 박남춘 인천시장과 주요 간부들이 직접 답변을 하는 민선 7기 인천시의 대표적인 소통 창구로 평가받고 있다. 시민의 호응 속에 문을 연 온라인 청원은 개설 한 달여 만에 첫 번째 청원이 성립됐고, 1년 동안 924건의 청원이 상정돼 무려 10만2천238건의 공감을 기록했다고 한다. 

3천 건의 공감을 얻은 청원은 ▶청라소각장 폐쇄·이전 ▶송도R2블록 원안 복귀 ▶GTX-B노선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정부 건의 ▶동춘1구역 초등학교 설립 촉구 ▶제3연륙교 조기 개통 ▶영종 준설토투기장 대체매립지 조성 반대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반대 등 18건에 달한다. 이에 대해서는 시장·부시장의 영상 답변이 총 17건, 서면 답변이 1건이다. 3천 건의 동의를 받지 못한 청원 220건에 대해서는 부서장이 서면으로 답변했다. 월평균 방문자가 225명에 불과했던 인천시 홈페이지 시민제안 사이트는 온라인 시민청원 영향으로 방문자 수가 월평균 2만3천 명으로 급증했다고 한다. 

이처럼 시민들의 참여가 늘어나고 있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청원이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된 신도시 관련 이슈나 특정사업에 대한 반대 의견에 편중됐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시장 등이 답변한 18건 중 14건이 청라 등 신도시 중심의 3개 경제자유구역에 쏠려 있다. 반면 원도심 지역 주민들은 온라인 청원제도를 잘 모르거나 청원을 올리더라도 수십 건의 공감을 얻는 데 그쳤다. 시민들의 관심이 갈수록 적어지는 것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개설 초기 128건에 달했던 청원은 1년 가까이 된 지난달에는 38건으로 100건 가까이 줄었다. 새로운 현안이 없다는 이유도 있지만 시민의견에 적극적이지 않은 시의 태도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시민이 느끼는 문제에 대해 꼭 3천 명 이상의 공감을 받아야만 시장이 답변하느냐는 것이다. 행정편의적인 발상이라는 지적과 함께 소통을 강조해온 박남춘 시장의 평소 지론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는 평가다. 박남춘 시장은 시민이 시장이라고 했다. 시장이 불편해 하는데 3천 명의 공감을 받아오라고 하면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시민을 시장이라고 추켜세우는 말장난이 아니라 시민의 말을 제대로 귀담아 듣고 개선하려는 노력과 실천이 필요한 때다. 그래서 소통은 정성이 있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