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자영업자 및 협동조합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어 소상공인들이 모인 협동조합 형태인 ‘쿱차이즈(coop-chise, 협동조합과 프랜차이즈의 합성어)’의 활성화를 이끄는 경기도형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최근 발간한 ‘쿱차이즈의 현황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경영환경은 수익성 저하, 규모 영세화, 자가 노동 비율 증가 등의 형태로 악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소상공인의 경우 10인 이하 사업체가 2015년 기준 전국 308만여 개(경기도 21%)로 10년간 19%가량 늘어났지만 창업 5년 이후 생존율은 27.5%로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협동조합 역시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후 양적으로 크게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 803개이던 도내 설립인가 협동조합은 2년 만에 1천838개로 늘어났다. 하지만 협동조합들이 수익성이 확보되지 않은 이유로 인해 전국은 48%, 경기도의 경우 49%만이 실제 운영되고 있다.

이에 소상공인의 생존율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안적 모델로 쿱차이즈에 대한 검토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이미 오래전부터 프랑스의 ‘Optic2000’(안경점, 1962년 설립), 이탈리아의 ‘CONAD’(슈퍼마켓, 1962년 설립)처럼 소상공인의 연합체인 쿱차이즈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소상공인 쿱차이즈를 설립하더라도 대기업의 소상공인 업종 진출, 프랜차이즈 확대 등의 경쟁이 심해 쿱차이즈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요구된다.

보고서는 쿱차이즈의 성장 지원, 저변 확대, 정책 기반 등 3가지 유형별 지원을 통해 쿱차이즈 활성화를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쿱차이즈의 성장 지원을 위해서는 공동 브랜드 개발, 판로 개척·마케팅 지원, 지역 생산품 연계 등으로 경기도형 쿱차이즈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고, 우수 사례를 조기에 발굴하고 소상공인의 생존율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안 모델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저변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경기도형 쿱차이즈의 정책수요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정책 기초 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과학적인 정책 수립 기반 마련도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