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편된 쇠고기등급제에 대한 인천시와 지역 축산농가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시는 농가소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 반면 농가는 가격 하락 등 피해를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인천지역 한우 사육농가는 총 540곳, 개체 수는 2만792마리다. 85%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농가가 강화지역에 위치해 있다.

기존 쇠고기등급체계는 지방함량(마블링) 중심이었다. 소비자들이 지방의 풍미가 강하면서 육조직이 연한 하얀 지방이 골고루 퍼진 쇠고기를 선호해서다.

하지만 이 같은 등급체계는 과다한 지방 섭취를 피하는 등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유행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소의 장기 사육으로 이어져 농가의 생산비 부담이 늘어난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이에 따라 지난 1일부터 지방함량 기준을 완화하는 쇠고기등급제를 개편·시행했다. 1++등급 기준인 지방함량 17% 이상을 15.6% 이상으로 낮추고, 1+등급은 13∼17%에서 12.3∼15.6% 구간으로 조정했다. 이로써 지방이 적어 1+등급을 받았던 고기 중 일부가 1++등급으로 책정될 수 있다.

시는 등급제 개편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다. 평균 소 사육기간을 31.2개월에서 29개월로 2.2개월 단축시켜 1마리당 연간 44만6천 원의 사육비(생산비) 절감 효과가 있다는 계산이다. 인천 축산농가들이 경영주의 노하우나 사료 종류에 따라 소 1마리당 1개월에 20만∼30만 원의 사육비를 지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1++등급의 공급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최고 등급 쇠고기의 가격 하락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지역 축산농가들은 부정적이다. 소를 지금보다 2개월가량 빠르게 상품화시키면 사육비는 줄일 수 있지만 오히려 중량 감소에 따른 출하가격 하락 정도가 더욱 커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1++등급의 고급육 공급량이 많아지면 수요·공급법칙에 의해 유통가격이 떨어져 손해가 극심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강화의 한 축산경영주는 "쇠고기가 비싸다는 인식이 많으니 가격을 내리겠다는 심산이고, 소를 키우는 입장에서 괜한 걱정을 해야 하는 꼴이 됐다"며 "유통업계는 벌써부터 가격 측정에 혼란을 겪고 있다고 들었고, 이번 등급제 개편은 절대로 긍정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강화에 출장을 나갔을 때 의견을 들어보니 개편을 반기는 농가들이 있었다"며 "시행 초기이다 보니 아직까지는 농가소득이나 쇠고기 가격 등 의미 있는 변화가 보이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장원석 기자 stone@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