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동구의 한 아파트 단지 내 가정어린이집. /사진 = 기호일보 DB
인천시 동구의 한 아파트 단지 내 가정어린이집. /사진 = 기호일보 DB

저출산 여파와 국공립어린이집 선호 현상까지 겹치면서 지역 민간·가정어린이집들의 폐원이 줄을 잇고 있다.

18일 인천시에 따르면 개학을 포기하고 휴원하거나 아예 폐업한 지역 내 어린이집은 2016년 77곳에서 2017년 78곳, 2018년 124곳, 올해 163곳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입소 아동이 급감한 2018년부터 0∼2세 영·유아를 주로 전담하는 가정어린이집의 타격이 더욱 크다. 2018년 폐원 어린이집 124곳 중 가정어린이집은 89곳이었고, 올해 역시 휴·폐원한 어린이집 163곳 중 가정어린이집 116곳, 민간어린이집 39곳 등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올 현재 국공립어린이집은 26곳, 직장어린이집은 6곳으로 늘었다.

시는 민간·가정어린이집 폐원의 가장 큰 원인을 저출산으로 인한 0∼5세 영·유아 감소, 국공립어린이집 증가로 인한 학부모들의 선호도 편중 등을 꼽았다.

지역 내 0∼5세 영·유아는 2014년 16만4천473명에서 지난해 13만1천271명으로 3만3천202명이 줄었다. 어린이집 입소 영·유아(0세)도 가장 많았던 2014년 7천162명에서 매년 감소해 지난해 6천460명까지 줄었다.

어린이집 정원 충족률도 지난해 정원 9만3천888명에서 현원 7만9천164명으로 84%에 그쳤다. 올해는 82%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내년에도 어린이집 폐원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장에서는 저출산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는 만큼 당장 존폐 위기에 처한 민간·가정어린이집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현장에서는 그동안 원아 수별로 보육료를 지원하던 것을 서울시와 경기도처럼 ‘반별 운영비 지원제도’를 도입해 지원하기를 원하고 있다. 저출산으로 원아 수가 감소해 정원을 채우지 못하면서 필요경비까지 충당하지 못하고 휴·폐원하는 민간·가정어린이집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이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현재 인천에서는 ‘반별 운영비 지원제도’를 2016년부터 인천형어린이집에만 적용하고 있다.

우영미 인천민간어린이집연합회장은 "시가 공공형어린이집이나 육아카페 등 보육사업을 많이 진행하고 있지만 기존부터 많은 영·유아들이 이용하고 있는 민간어린이집에 대한 지원은 좀처럼 늘지 않고 있다"며 "올해도 정원충족률이 저조해 내년 폐업을 고려하는 어린이집 원장들이 많이 있어 반별 지원금 등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