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이 왜곡시킨 도내 행정구역 명칭(지명) 변경<본보 1월 14일자 1면 보도>을 추진하는 가운데 도내 160개 읍면동이 고유의 명칭을 잃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도내 398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명칭 변경 여부를 조사한 결과, 전체 40%가량인 160곳이 이른바 ‘창지개명(創地改名)’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도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아시아역사연구소가 발간한 ‘경기도 역사 지명사전’에 수록된 도내 읍면동의 지명 변천사를 분석 대상으로 정의, 관련 정보를 범주형 자료로 처리해 계량적 분포를 살폈다.

조사 결과, 과거 지명이 현재까지 유지된 읍면동은 137곳(35%), 해방 전후 지명이 변경된 읍면동은 228곳(57%)으로 분석됐다.

일제강점기 당시 변경된 읍면동 지명 160곳의 유형별로는 2개 지명에서 한 자씩 선택해 합친 ‘합성지명’이 121곳으로 가장 많았다. 대표적 사례는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때 둔서촌·양현리·통로동 등을 병합해 변경한 성남시 서현동을 예로 들 수 있다.

일제가 식민통치의 편리성을 위해 숫자나 방위, 위치 등을 사용해 변경한 사례는 29곳으로, 광주시 중부면과 연천군 중면이 해당한다. 연천군 중면의 경우 연천읍치의 북쪽이던 북면을 ‘연천군의 중앙에 위치한다’해 중면으로 개칭됐다.

일제가 기존 지명을 삭제한 후 한자화한 지명은 3곳이다. 부천시 심곡동이 대표적으로, 일제는 1914년 조선시대 고유 지명인 먹적골·벌말·진말을 병합하면서 심곡동(深谷洞)으로 변경했다. 도는 일제 잔재 청산과 지역의 역사성·정체성 회복을 위해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행정구역 명칭 변경 의사 여부를 수렴 중이며, 향후 대상지가 확정되면 명칭 변경을 통해 고유 지명 복원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향후 도는 시·군과 긴밀히 협력해 사라지거나 왜곡된 우리의 고유 지명을 되찾기 위한 노력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남궁진 기자 why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