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지방대학이 협업체계를 꾸려 지역 교육·취업 활성화에 나선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 사업은 지자체·대학·기업 등 지역의 다양한 기관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꾸려 지역의 교육·취업 등 전반적인 정주 여건을 개선하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은 지자체와 대학이 중심이 돼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의 교육·산업 여건을 반영한 ‘지역혁신 핵심 분야’를 설정한다. 플랫폼은 큰 틀에서의 ‘대과제’를 정하고, 해당 분야에 맞는 인재를 길러내서 일자리까지 연계할 구체적인 ‘소과제’들을 설정한다.

플랫폼에 참여하는 대학은 해당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학사구조와 교육과정을 개편한다. 지역 내 기업, 일반고·직업계고, 연구소, 창조경제혁신센터, 상공회의소 등 유관기관은 각자에게 맞는 소과제에 참여한다.

예를 들어 한 지역이 자신들의 인프라를 고려해 ‘스마트 선박 건조 산업’을 지역혁신 핵심 분야로 발굴했다고 가정하면 우선 지자체와 지역의 A대학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꾸린다. 플랫폼은 ‘조선부품 분야 핵심인재 양성 및 기술 개발’을 대과제로 설정하고 ‘조선부품 계약학과 운영’, ‘고교학점제 연계’, ‘제조공정 효율화 방안 연구’ 등의 소과제를 구체화한다.

조선부품 계약학과 운영 소과제에는 A대학·B특성화고·C기업, 고교학점제 연계 소과제에는 D대학·E고등학교·F교육청, 제조공정 효율화 방안 연구에는 G대학·H기업이 참여한다.

학생 입장에서는 고등학교 때부터 지역 산업에 관한 수업을 들으면서 진로를 설계하고, 지역 대학을 거쳐서 일자리까지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학과 기업 입장에서는 지역 학생을 지역 맞춤형 산업 인재로 길러내는 창구 역할을 하면서 인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올해 시범적으로 3개 지역의 지역혁신 플랫폼을 선정해 지원한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은 제외된다. 다만, 서울에 본교가 있는 대학의 지역 분교는 참여할 수 있다.

올해 예산은 국고로 1천80억 원이 마련됐다. 국고로 70%를 지원하고 지역이 30%를 대응 투자한다.

사업은 단일형과 복수형으로 나뉜다. 단일형은 광역시도 1개 단위에서 플랫폼을 꾸리고, 복수형은 여러 광역시도가 통합 플랫폼을 꾸린다. 단일형은 국고 300억 원, 지방비 128억 원 등 약 428억 원의 사업비로 꾸려진다. 복수형은 국고 480억 원, 지방비 206억 원 등 약 686억 원의 사업비가 된다. 교육부는 우선 단일형 2개, 복수형 1개를 염두에 두고 있다.

정부는 교육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기업벤처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여러 부처에 나뉘어 있는 지역 및 대학 지원사업을 이 플랫폼 사업에 연계할 방침이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통해 협의한다.

교육부는 2월 중 지자체장·대학 총장 등이 참여하는 권역별 간담회를 진행한 다음 기본계획을 2월 말께 확정·공고할 예정이다. 4∼6월 선정 절차가 이뤄지며, 7월부터 내년 4월까지 시범사업이 진행된다.

/연합뉴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