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호일보DB
사진=기호일보DB

인천지역 공공청사에 내걸린 새마을기(旗)를 놓고 지역사회에서 적정성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20일 인천시와 10개 군·구에 따르면 새마을기는 시청사와 남동구를 뺀 나머지 군·구청사에 태극기와 함께 걸려 있다. 새마을기 게양은 1994년 지자체 자율에 맡기기로 결정됐으나 이후에도 지역 대다수의 관공서에서는 관행이 유지<본보 1월 20일자 1면 보도>돼 왔다.

하지만 경기도가 올해 들어 상시 게양을 중단한 데 이어 인천시도 검토계획을 밝히면서 지역에서 여러 갈래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새마을기 게양을 찬성하는 측에서는 새마을운동을 국민이 중심이 된 국가 발전의 역사로 기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유엔(UN)이 인정한 지구촌 빈곤 퇴치 모델로 꼽히는 만큼 역사와 전통으로 이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새마을회가 지금까지 사회적으로 담당해 온 역할과 노력을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권민정 인천시새마을회 사무처장은 "지난해 적수 사태나 태풍 등 피해가 발생했을 때 가장 앞장서서 나선 것은 새마을회밖에 없었다"며 "사회적인 보람만으로 궂은 일을 해 왔는데 때만 되면 정치적 이슈로 접근하는 것이 속상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관공서가 새마을기를 게양하는 것은 시대에 맞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박정희 정권 시절 게양을 의무화한 새마을기가 유신의 잔재라는 해석이다. 또 특정 단체의 기(旗)만 관공서에 걸어주는 것에 대한 단체 간 형평성 문제도 제기된다.

청년단체에 참여하고 있는 시민 A(36)씨는 "좋은 변화를 이끌기 위해 민주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모든 운동을 형평성 있게 봐야 한다"며 "관공서가 새마을기만 관행적으로 내걸기보다는 다양한 시민운동이 인정받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게양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었다.

이처럼 시민들의 생각이 엇갈리는 새마을기와 새마을운동을 사회적 담론으로 다뤄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인하대학교 이기우(법학전문대학원)교수는 "새마을운동의 부정적 측면도 있겠지만 주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마을을 발전시키고 빈곤을 퇴치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사례이기도 하다"며 "과거의 것이라고 다 없애기보다는 이런 내용들을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새마을기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