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요 대학 대부분이 중국인 유학생 전원을 기숙사에 수용할 여건이 안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에서만 최소 1만4천명의 중국인 유학생이 기숙사에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가능성을 차단하려면 중국인 유학생 수용 문제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고등교육기관 국가별·학교별 외국인 유학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으로 중국인 유학생이 1천명 이상인 대학은 17곳이다.

 경희대(3천839명), 성균관대(3천330명), 중앙대(3천199명) 등 세 학교는 중국인 유학생이 3천명이 넘었다.

 한양대(2천949명), 고려대(2천833명), 동국대(2천286명), 건국대(2천284명), 국민대(2천59명) 등 다섯 곳은 중국인 유학생이 2천명대였다.

 그다음으로는 한국외대(1천810명), 연세대(1천772명), 홍익대(1천694명), 상명대(1천375명), 숭실대(1천349명), 우송대(1천315명), 이화여대(1천304명), 단국대(1천139명), 서강대(1천129명) 순으로 중국인 유학생이 많았다.

 교육부로부터 대학 정보공시 업무를 위탁받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정보공시센터는 ‘대학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각 대학의 기숙사에 방이 몇 개 있는지를 공개하고 있다.

 이를 이용해 연합뉴스가 자체 분석한 결과, 중국인 유학생이 1천명 이상인 17개 대학 가운데 연세대·이화여대를 제외한 15곳(88.2%)이 기숙사 방 수가 중국인 유학생 수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는 중국인 유학생이 원할 경우 기숙사에 수용하고 ‘1인 1실 배정’을 원칙으로 하라고 대학에 안내했는데, 대학들은 교육부 가이드라인을 지키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중국인 유학생 1천명 이상인 서울 소재 대학 15곳의 기숙사 방 부족분을 모두 더해보면, 약 1만4천명은 수용하지 못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여기에 중국인 유학생이 1천명 미만인 나머지 서울 소재 대학들 통계를 합치고, 기숙사 대신 자취를 선택한 중국인 유학생이 상당수인 점까지 고려하면, 기숙사 바깥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인 유학생 숫자는 더 늘어나게 된다.

 대학들이 기숙사 시설 전체를 유학생 격리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도 아니다. 서울 시내 대학들은 대부분 기숙사의 일부 동만 격리 공간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서울 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은 총 3만5천152명이다. 대학 관계자들은 "기숙사에 들어가지 못하는 중국인 학생이 최소 2만명, 많으면 2만5천명 이상일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교육부는 대학에 가이드라인을 배포해 "학교 밖에 거주하는 유학생에게는 입국 후 14일간 등교 중지 방침과 감염병 예방수칙을 안내하고, 외출 자제 및 마스크 착용 등 생활 예방수칙을 (전화·문자 등으로) 매일 1회 이상 안내하라"고 권고했다.

 그러나 대학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각 대학 관리 책임으로 떠넘기지 말고, 지방자치단체 보유 시설을 중국인 유학생 임시 거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나온다./연합뉴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