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정당이 당을 대표할 후보 선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기도내 곳곳에서 각 당의 후보가 결정되면서 선거판에도 열기가 오르고 있다.

각 당은 경선이나 전략공천을 거쳐 후보를 결정했다. 경선의 경우 승자와 패자 대부분이 결과에 승복하고 힘을 한데 모으는 분위기다.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다 보니 지역 민심을 받아들이는 모양새다.

반면 전략공천으로 후보가 결정된 경우 ‘공천 후유증’을 겪고 있다.

전략공천으로 후보가 결정된 지역에서는 그동안 텃밭을 다져온 예비후보 등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해당 지역을 잘 알지 못하는 인물이 그 지역을 대표해 선거를 치르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라는 주장이다.

사실 그동안 수많은 선거판을 취재하면서 전략공천이 불러온 후유증을 많이 지켜봐 왔다.

전략공천을 바라보는 시각은 중앙과 지역이 다르다. 중앙당에서는 당선 가능성이 높고, 참신한 인물이라 주장하는 반면 지역에서는 낙하산 공천이라고 맞선다. 특히 수년간 해당지역을 돌며 민심을 다져온 인물이라면 분노할 이유가 충분하다.

전략공천 후보나 경선을 거친 후보나 모두 당선을 확신할 수는 없다. 선거운동 기간이라도 최선을 다해 지역 민심을 잡아야 한다.

지금의 유권자들은 예전과 다르다. 후보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그 전달력도 빠르다. 물론 가짜뉴스 등이 돌기도 하지만 이를 통한 승리는 반드시 책임을 지게 된다.

또 수년간 아무리 지역 민심을 관리했다고 하더라도 유권자의 선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결국 지역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은 유권자가 선택하는 것이다.

후보라면 누구나 유권자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 유권자들은 우리 지역의 ‘참일꾼’이 누구인지 알고 있을 것이다. 코로나19로 선거에 관심이 조금 덜하기는 하지만 4년간 우리 지역을 위해 일해 줄 사람을 결정하는데 신중할 것이다.

공천을 둘러싼 중앙과 지역의 정치 갈등의 ‘옳고, 그름’은 결국 유권자가 판가름해 줄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