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의 비극인 제주4·3 당시 한 장소에서 50명 이상 학살되는 집단학살이 26건이나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4·3평화재단은 16년 만에 ‘제주4·3사건 추가 진상조사보고서Ⅰ’<사진>을 발간하고 4·3 피해자 1만4천442명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26건의 집단학살을 밝혀 냈다고 16일 밝혔다.

50명 이상의 집단학살은 제주읍(현 제주시 동 지역 일부)에서 ‘도두리 동박곶홈 사건’ 183명, ‘봉개리·용강리 대토벌 사건’ 151명, ‘도평리 함정토벌 사건’ 78명, ‘외도지서 서쪽밭 사건’ 71명, ‘도령모루 사건’ 69명, ‘도두리 궤동산 사건’ 65명 등 총 6건이 발생했다.

또 조천면(현 제주시 조천읍)에서 ‘북촌국민학교 사건’ 299명, ‘함덕백사장 및 서우봉 일대 사건’ 281명, ‘박성내 사건’ 143명(행방불명자 포함), ‘조천지서 앞 밭 사건’ 126명 등 4건이다.

한림면(현 제주시 한림읍)에서도 ‘신생이서들 사건’ 72명, ‘붉은굴 사건’ 58명, ‘고산 천주교회 인근 밭 사건’ 56명 등 3건이 발생했다.

표선면에서는 ‘표선백사장 사건’ 234명, ‘버들못 사건’ 92명 등 2건으로 조사됐다.

또 서귀면(현 서귀포시 동지역 일부)의 ‘정방폭포 일대 사건’ 235명(1건), 성산면(현 서귀포시 성산읍)에서 ‘터진목 사건’ 213명(1건), 남원면(현 서귀포시 남원읍)의 ‘남원리·위미리·태흥리 무장대 습격사건’ 89명(1건), 애월면(현 제주시 애월읍)의 ‘자운당 사건’ 77명(1건) 등 4곳에서 4건의 집단학살이 발생했다.

대정면의 ‘모슬봉 탄약고터 사건’ 78명(1건), 구좌면(현 제주시 구좌읍)에서 ‘연두망 사건’ 74명(1건), 중문면의 ‘신사터 사건’ 71명(1건) 등 3곳에서 3건의 집단학살이 있었다.

제주4·3평화재단은 표선면의 ‘성읍리 무장대 습격사건’(희생자 49명), 구좌읍의 ‘세화리 무장대 습격사건’(48명), 남원읍의 ‘의귀국민학교 동쪽 밭(개턴물) 사건’(38명) 및 ‘남원리·위미리·태흥리 무장대 습격에 대한 보복학살 사건’(31명) 등 총 4건에 대해 피해자가 50명 미만이지만 동일한 장소에서 반복적으로 학살극이 벌어져 집단학살 범주에 포함했다.

각 사건명은 학살이 벌어진 옛 지명 등에서 이름 붙였다. 전수조사는 가해자 구분, 피해 형태, 재판 유형, 유해 수습 여부 등에 따라 모두 18개 유형으로 분류했다.

또 추가 조사 과정에서 확인한 미신고 희생자도 1천200여 명에 이른 것으로 확인했다.

이번 추가 진상조사보고서는 추가 진상조사 개요와 마을별 피해 실태, 집단학살 사건 발생과 수형인 행방불명 피해 실태, 예비 검속 피해 실태, 행방불명 희생자 유해 발굴, 교육계 피해 실태, 군인·경찰·우익단체 피해 실태 등 총 770쪽으로 구성됐다.

제주4·3평화재단은 "이번에 미국의 역할과 책임 문제, 중부권과 영남권 ‘형무소’의 수형인 문제, 재외교포와 종교계 피해 실태 등에 대해 다루지 못했다"며 "앞으로 이뤄질 진상조사보고서 발간을 통해 이번에 다루지 못한 내용을 담겠다"고 말했다.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는 2003년 처음 발간됐다.

정부의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제주4·3은 1947년 3·1절 발포사건 때부터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 7개월간 군경의 진압 등 소요사태 와중에 양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적게는 1만4천 명, 많게는 3만 명이 희생당한 것으로 잠정 보고됐다.

/연합뉴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