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재난기본소득을 ‘경기지역화폐’ 등으로 지급할 예정인 가운데 올해 카드형 지역화폐 결제 추이도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식업계나 레저업소 등의 지역화폐 카드 이용은 크게 감소했지만 생필품 관련 소비는 유지 또는 증가하면서 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소비패턴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2일 도에 따르면 경기지역화폐는 도내 경제 활성화를 위해 31개 시·군에서 발행한 대안화폐로 대형 마트, 백화점 등을 제외한 연매출 10억 원 이하 지역 상점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발행 방식은 일반발행과 정책발행 두 가지로 나뉜다. 일반발행(모바일, 카드 등)은 도민 누구나 최대 6% 할인 혜택을 받아 구매해 사용할 수 있고, 정책발행은 청년배당이나 산후조리비와 같은 복지수당을 지역화폐로 지급받는 형태다.

특히 국내에서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 시기부터 카드형 지역화폐 소비패턴도 변화(올 3월 25일 기준)한 것으로 파악됐다. 도는 기준일까지 일반 및 정책 방식에서 총 1천820억 원의 지역화폐를 발행했다.

카드형 지역화폐 소비액을 살펴보면 1월에는 일반휴게음식점 185억 원, 유통업81억 원, 학원 69억1천만 원, 음료식품 52억4천만 원, 보건위생 30억1천만 원, 의원 25억5천만 원, 레저업소17억2천만 원, 회원제 업소 13억6천만 원, 연료판매점 12억 원, 약국 10억8천만 원 등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코로나19 국내 위기감이 심화되고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2월부터 집단감염이 시작된 3월까지 외부 업계 소비가 크게 줄었다. 일반휴게음식점의 경우 164억 원에서 152억 원으로, 학원은 59억3천만 원에서 44억9천만 원, 보건위생 25억8천만 원에서 21억5천만 원, 레저업소 10억3천만 원에서 6억8천만 원, 회원제 업소 10억6천만 원에서 8억4천만 원, 연료판매점 11억 원에서 10억2천만 원 등으로 각각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생필품이나 건강과 관련한 소비는 늘어났다. 유통업 82억1천만 원에서 86억7천만 원으로, 음료·식품 46억 원에서 52억1천만 원, 약국 11억8천만 원에서 13억5천만 원 등으로 나타났다. 의원의 경우 2월 26억6천만 원을 소비했고, 3월에는 1월 소비와 비슷한 수준의 25억2천만 원을 결제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상현 기자 ks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