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는 서형탁<사진> 신소재공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 연구팀이 촉각 인식용 인공 신경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개발은 생체 촉각과 신경을 모사한 신소자를 산화물 이종접합 구조를 이용해 구현한 것으로, 피부부착형 전자장치와 인공지능형 센서기술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내용은 ‘촉각 인지를 위한 인공 압전 시넵스(An artificial piezotronic synapse for tactile perception)’라는 논문으로 나노 분야 국제 학술지 「나노에너지(Nano Energy)」 4월 1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아주대 김상완 전자공학과 교수와 쿠마 모히트(Mohit Kumar)연구원이 함께 참여했다.

서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인공 촉각 신경 소자는 기존의 다른 인공 촉각 회로와 비교해 복잡성이 낮고 전력 소비도 적은 데 비해 탁월한 환경적응형 인공 터치 감지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인공지능형 센서기술, 피부부착형 전자장치, 로봇공학 및 장애인을 위한 인공수족 같은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종대 기자 pjd@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