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우 인천백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과장
임신우 인천백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과장

무릎에 약간이라도 이상 증세를 느꼈던 분이나 그런 가족이 있다면 적어도 한 번은 "병원에 갔더니 의사가 물렁뼈가 안 좋데. 연골이 닳았나 봐"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일반인들이 연골과 물렁뼈, 즉 반달연골판을 구별하기란 쉽지 않다. 

무릎관절에는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표적 질환으로는 주로 비교적 젊은 연령에서 발생하는 반달연골 또는 물렁뼈라 말하는 띠 모양의 구조물 손상과 노인연령에서 주로 발생하는 소위 연골에 질병이 발생해 닳아 없어지는 퇴행성관절염 또는 골관절염을 들 수가 있다. 

무릎은 인체에서 가장 큰 관절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불안정한 뼈 구조를 가지고 있는 해부학적 특징이 있어 무릎에 직간접적인 외상을 받았을 때 다른 관절에 비해 더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빈도나 예후를 생각할 때 가장 심각한 것이 반달연골의 손상으로, 일단 손상이 발생하면 대부분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과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시간이 지나도 낫지 않고 손상이 점점 심화된다는 것이다.

반달연골의 손상이 있으면 무릎 주변이 붓고 관절 주변 내측이나 외측 오금 부위가 아프며, 무릎을 구부렸다가 펴거나 계단을 내려갈 때,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날 때 통증이 심해진다. 

특히 ‘잠김현상(locking)’이라 해 자동차나 의자 등에 앉아 있다가 움직이려고 하면 갑자기 무릎이 펴지지 않고 마비가 오는 듯한 증상이 있어 주변을 주무르거나 살살 조심해서 움직이면 다시 정상적으로 보행할 수 있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 비탈길·계단·비포장도로를 걸을 때 갑자기 무릎에 힘이 쭉 빠지면서 불안정성을 느끼게 되는(ginving way sense) 증상을 호소한다. 이런 증상이 오래된 환자들은 무릎상부 대퇴사두근, 즉 허벅지 근육이 위축돼 건측과 비교 시 다리가 얇아진 느낌이 있기도 한다.

반달연골은 일반적인 단순방사선, 즉 엑스레이로는 볼 수 없는 방사선 투과조직이기 때문에 위 증상이 있을 때 확진을 위해서는 MRI검사나 무릎 속을 직접 볼 수 있는 관절내시경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가장 대표적이고 보편화된 수술 방법이 미세절개를 통한 ‘관절내시경하 반달연골부분절제술’ 또는 ‘반달연골 봉합술’이다.

‘슬관절 내시경술식’은 절개를 하지 않고 슬관절에 작은 천자구명을 만들어 내시경을 통해 손상 부위를 확인하고 동시에 치료까지 할 수 있는 의술로, 합병증이나 통증이 거의 없는 비교적 매우 안전한 수술법이다. 또 수술 다음 날부터 자립보행 등 일상생활이 가능하므로 간병이 따로 필요없다. 단점으로는 시술 시 기구 조작이나 치료 테크닉이 필요하므로 반드시 장비를 갖춘 숙달된 전문가가 있는 병원이나 의료진을 찾아야 한다. 

최근에는 노인성질환인 퇴행성관절염에서도 병이 많이 진행된 말기의 관절염 환자 외에는 슬관절 내시경술식을 이용한 관절세척술, 활막제거술 등이 매우 흡족한 결과들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일시적인 통증 조절을 위한 진통제 투여와 소극적인 물리치료, 심지어는 검증되지 않은 근거불명의 민간요법에 의존하는 환자들이 많았으나 최근 MRI 등 정밀한 진단장비와 의료기술 발달로 조기에 진단을 받으면 자신에게 알맞은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해졌다. 

자신과 부모님의 소중한 무릎을 인터넷쇼핑에서 파는 의학적으로 검증이 안 된 제품이나 주변의 비의료인이 좋다는 소위 용한 약에 맡기지 말고 잠깐 시간 내서 가까운 병원이나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건강한 삶을 누리는 비결이다. 여행을 가고, 등산을 하고, 삶의 질을 우선시하는 현대사회에서 무릎건강은 행복한 삶을 사는 가장 기본이 아니겠는가.

<도움말=인천백병원 임신우(정형외과 전문의)과장>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