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전문가들은 1년 전 붉은 수돗물 사태를 인천 상수도 혁신의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한다. 낡은 상수도 행정을 개혁하고 시민들의 신뢰를 되찾아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최계운 인천대학교 명예교수는 인천의 붉은 수돗물 사고에 대해 상수도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기회였다고 평가했다.

최 교수는 "그동안 땅 위에 있는 것에는 많은 투자를 하고 발 빠르게 스마트기술을 적용하면서도 땅속에 있는 것에는 무관심했다"며 "결국 땅속에 묻힌 상수도관에는 투자를 하지 못했고, 스마트기술도 적용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는 정부가 할 일을, 지자체는 지자체가 할 일을 나눠서 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환경부와 지자체가 할 일을 구분해 시행할 수 있도록 정부가 각자의 할 일을 분배해 줘야 한다는 식이다.

그는 "정부는 상수도 관련 가이드라인과 정책을 기획·계획하고 관련 기술과 산업 육성 및 활성화 여건을 만드는 역할을 해야 하고, 지자체는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현장에 기반한 운영을 해야 한다"며 "운영 시에는 민과 관의 전문가가 함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천은 시민과 수돗물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건강한 수돗물 만들기 위원회’를 구성한 만큼 다같이 수도시설을 혁신하고 선진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최혜자 인천 물과 미래 대표는 지자체에만 미뤄 뒀던 지역의 수돗물 행정을 돌아보고 정부의 관심을 되돌리는 계기가 됐다는 시각이다.

최 대표는 "인천에서 수돗물 사태가 발생한 것은 안타깝지만 이를 통해 인천뿐 아니라 우리나라 수돗물 전반에 대해 돌아볼 수 있었다"며 "상수도혁신위원회에서 다양한 혁신안을 제시했고,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건강한 수돗물 만들기 위원회 조례 제정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돌아봤다.

지난 1년간 혁신위 등 지역에서 다양한 노력을 펼친 결과 수계 관리 현장 매뉴얼 구축, 시민 모니터링 등을 보장하는 조례 최초 제정 등의 성과가 있었다는 평가다. 이는 타 지역에서 벤치마킹 대상이 되기도 했다. 다만, 건강한 수돗물 만들기 위원회에 대한 시의 적극적인 관심, 수질 전문 직종을 포함한 합리적인 조직 개편 등 개선해야 할 부분도 분명히 있다는 지적이다.

최 대표는 인천의 수돗물 혁신은 현재진행형인 만큼 수돗물 생산부터 소비까지 시민들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서비스 역시 지속돼야 한다고 봤다.

최혜자 대표는 "인천 수돗물이 정말 깨끗하고 안전하다는 것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시민 눈높이에 맞는 열린 행정, 투명한 정보 공개 등이 일관성 있게 이뤄져야 한다"며 "주요 공공기관 내 음수대 설치 등 작은 부분부터 신뢰 회복의 노력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조현경 기자 cho@kihoilbo.co.kr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