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에 대한 인천지역 경제계 반응이 냉랭하다.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디지털, 그린 등 분야에 중점을 둔 것은 이해하지만 지역 뿌리산업을 위한 지원이나 최악의 상황인 경기를 부양할 실질적인 대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1일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6차 비상경제회의에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확정했다. 앞으로 5년간 모두 76조 원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2022년까지 디지털뉴딜 13조4천억 원, 그린뉴딜 12조9천억 원, 고용안전망 강화 5조 원 등 31조3천억 원을 투자해 55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2023∼2025년 추가로 45조 원을 투자한다.

디지털뉴딜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공공데이터 개방, 국가망 5G 전환, 5G·AI 융합, AI·소프트웨어 인재 양성 등 2022년까지 총 6조5천억 원을 투입해 일자리 22만2천 개를 창출한다.

또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4조8천억 원, 비대면 산업 육성 1조4천억 원, 디지털 포용·안전망 구축 8천억 원을 각각 투입하기로 했다. 여기에 모든 초·중·고등학교 교실에 와이파이를 구축하고 ‘디지털교과서 온라인시범학교’ 학생 24만 명에게 태블릿PC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에 대해 인천지역 경제계는 제대로 된 경기부양책으로 작용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지역 기업 관계자는 "디지털뉴딜 분야에 6조5천억 원을 투입한다고 하지만 실제 경기 부양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 든다"며 "차라리 건설경기 부양책을 펼쳤다면 지역에는 큰 효과가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든 학교에 와이파이를 구축하는 것이 정말 온라인 소통에 도움이 되는 것인지, 아니면 애들 공부에 방해가 되는 것인지 반문하게 된다"며 "실질적인 경기 부양 효과를 위해 현장에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모르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정부는 중소기업 16만 곳에 원격근무시스템 이용을 위한 바우처를 연 400만 원 제공하고,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밀집 거점 1천562곳에 공동 화상회의 인프라를 구축한다.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100개 기업을 선정해 연구개발(R&D), 실증테스트, 사업화까지 3년간 성장 전 주기를 지원한다. 여기에 창업·스타트업 지원 대상도 60곳에서 1천 곳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지역 경제단체 관계자는 "중소기업에 원격근무시스템 바우처를 제공해도 지금 상황에서 그런 게 실질적인 도움은 되지 못할 것 같다"며 "차라리 기업이나 개인에게 재난지원금 주듯 돈을 푸는 것이 최악의 지역경제 상황을 뚫고 가는 데 더욱 효과적일 듯하다"고 토로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