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원으로 인천복지재단을 통합하는 방식의 ‘인천형 사회서비스원’ 설립<본보 6월 25일자 1면 보도>을 두고 지역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두 기관의 통합 필요성에 대한 모두의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시와 인천복지재단은 25일 인천형 사회서비스원 모델 설정에 지역 의견을 수렴하고자 ‘인천형 사회서비스원 설립 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권정호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전흥윤 인천시사회복지협의회 사무처장, 장정애 청운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신진영 인천평화복지연대 협동사무처장, 김성훈 시 복지정책과장, 이배영 인천시사회복지사협회장, 이재완 공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등 6명이 토론에 참여했다.

토론회의 가장 큰 화두는 역시 인천복지재단이 명칭을 내려놓고 인천형 사회서비스원으로 통합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것이었다. 사회서비스 제공을 두고 연구와 현장이 시너지 효과를 내려면 기능 통합이 효율적이라는 의견부터, 인천복지재단의 상징성을 감안해 별도 기관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성훈 과장은 "두 기관이 분리된 서울은 기관 간 협업이 미흡해 별도 예산으로 외부 용역을 주고 관련 연구를 추진하는데, 대구·경남은 현장에 필요한 연구과제를 사회서비스원이 직접 수행하는 등 연구와 현장 지원 일원화로 효율적이었다"며 "두 기관을 통합하면 연구 기능이 현장과 유기적으로 작동하게 돼 오히려 재단 핵심 역할인 지역 복지 허브 기능이 강화된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신진영 처장은 "재단이 민관 허브로서 복지자원 발굴과 복지법률상담 및 시민 복지의식 제고 등 맞춤형 복지를 다양화하는 사업을 대폭 확대해 나가야 한다"며 "재단이 별도 기관으로서 인천의 중장기적 사회복지 비전, 전반적인 정책 수립 등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고, 이 과정에서 사회서비스원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유지하며 업무 분담 등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발제를 맡은 이선정 인천복지재단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두 기관이 별도로 가면 사회서비스원 설립 지연 및 운영 비효율성 문제가, 재단으로 사회서비스원이 통합되면 보건복지부로부터 사업 허가 취소 위험 등의 문제가 있다"며 "결국 재단 명칭 소멸로 인한 반발 우려가 있긴 하지만 중복 기능 통합 및 설립·운영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고려하면 사회서비스원으로의 재단 확대·전환이 유리하다"고 분석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