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복지재단을 확대 개편한 ‘인천형 사회서비스원’에 지역이 거는 기대는 크다. 대부분 기존 재단의 역할에 더해 지역 현장에 맞는 사회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함께 하고 있다.

장정애 청운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오는 11월 인천형 사회서비스원 설립을 통해 정책 연구에만 의존하던 사회서비스 제공 틀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연구와 현장이 접목되는 만큼의 시너지를 낼 것이라는 예상이다.

장 교수는 "탁상행정에서 벗어난 지역 현장 밀착형 정책으로 보다 실용적인 연구 결과 도출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이 외에도 재단 확대 개편을 통해 고용 안정성 강화, 정책 및 사업의 공공성과 투명성 확보, 영세 기관 사회서비스 역량 강화 및 품질 제고 등 현장 중심의 사회서비스원 설립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재완 공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역시 정책 연구와 사업 기능의 유기적 통합으로 지역성을 반영한 연구 수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재단이 설립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운영 및 업무체계가 정착되지 못한 상황에서 사회서비스원으로 변화되는 상황에 대응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 교수는 "재단은 지역 복지수요의 고도화·다양화에 따른 고유성을 전달체계에 반영하려는 필요성에 의해 설립·운영됐던 것"이라며 "사회서비스원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조직 운영의 합리성·민주성 확보, 민간 복지영역과의 상생과 협업, 사회서비스원 인력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 운영예산의 안정적 확보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천형 사회서비스원이 설립될 때까지 재단과 사회서비스원이 본연의 기능과 목적에 충실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재단이 담당했던 조사·연구 기능이 약화되지 않으면서도 인천복지에 대한 시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시각이다.

전흥윤 인천시사회복지협의회 사무처장은 "앞으로 인천형 사회서비스원이 지역 사회서비스 공공성 강화 및 종사자 전문성·처우 개선을 선도하려면 민간 복지기관이 요구하는 협력관계 강화를 위한 청사진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재단의 연구 및 교육 기능 등 일부를 민간 기관에 이관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의견들에 대해 성용원 시 복지국장은 "인천형 사회서비스원은 지역 일자리 창출은 물론 민간 기관에 대한 상담 및 자문, 사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각종 지원 등 ‘동반성장’하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사회서비스 수요에 민관이 공동 대응하고 함께 발전하는 전략을 모색하는 등 복지 공급 시스템 확립에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