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인천시청 중앙홀에서 열린 ‘친환경 폐기물 관리정책 전환과 자체 매립지 공론화’ 토론회장에서 시민들이 발제자의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지난 11일 인천시청 중앙홀에서 열린 ‘친환경 폐기물 관리정책 전환과 자체 매립지 공론화’ 토론회장에서 시민들이 발제자의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인천시민 대부분은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한 자체 매립지 조성과 소각시설 현대화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시가 만 19세 이상 인천 거주 성인 3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친환경 폐기물관리 정책 전환과 자체매립지 조성 공론화’의 현안 관련 시민의식 결과에 따른 것이다.

시는 지난 4월 6일부터 21일까지 총 16일간 유·무선 전화를 통해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사실 인지도 ▶인천시 자체매립지 조성 찬반 ▶소각시설 친환경 현대화 추진 방식 ▶자체매립지·폐기물처리시설 입지 지역 주민에게 가장 필요한 보상 유형 ▶평소 재활용품 분리배출 시 애로사항 ▶시민참여형 공론화 취지 공감도 등에 대한 의견을 취합했다.

12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2025년에 종료하는 현안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는 조사 참여자의 37.9%가 알고 있었으며, 지역별로는 서구의 인지도가 57.0%로 가장 높았다. 남성과 40대 이상·자영업 종사자 등에서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사실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한 자체매립지 조성 여부에 대해서는 매우 동의한다와 다소 동의한다 등 ‘동의한다’는 비율이 75.2%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와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 등 부정적인 비율 18.8%보다 4배가량 높은 수치로, 자체매립지 조성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상당 수준 형성된 것으로 분석된다.

소각시설 친환경 현대화 추진 방식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2.2%는 ‘현재 운영 중인 소각시설 현대화’가 더 적합하다고 응답했다. ‘현재 운영 중인 소각시설 폐쇄 후 제3지역으로 이전’이 더 적합하다는 인식은 20.7%인 것으로 조사됐다.

자체매립지와 폐기물처리시설 입지 지역 주민에게 가장 필요한 보상 유형은 ‘일자리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응답이 28.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도로·공원 등 인프라구축’(19.7%), ‘문화·체육시설 등 주민편익시설 설치’(18.7%), ‘지역주민에 대한 현금 지원’(16.7%) 등으로 이어졌다. 응답자 중 4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는 ‘일자리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언급이 많았으며, 20∼30대 응답자들 사이에서는 ‘도로·공원 등 인프라 구축’과 ‘지역 주민에 대한 현금 지원’에 대한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 중 상당수는 폐기물 관리정책과 자체매립지 조성 관련 시민참여형 공론화 취지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다소)‘공감한다’는 의견은 총 79.1%, (전혀+별로)‘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16.4%였다.

한편, 시와 공론화추진위원회는 지난 11일 ‘친환경 폐기물 관리정책 전환과 자체매립지 조성 공론화’를 위한 최종 시민대공론장을 열었다. 추진위는 시민인식조사 결과와 시민대공론장 개최 결과를 종합한 최종 결과보고서를 이번 주 내로 공론화위원회에 전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 공론화위원회가 최종 정책 권고안을 작성해 7월 중 시장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김유리 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자체매립지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