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19발 경기 부진으로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리기가 어려워진 인천지역 중소기업과 가계가 비싼 이자에도 불구하고 제2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담보력이 취약한 중소법인과 저신용자에 대한 비은행금융기관의 신용대출 등이 늘어날수록 전체 금융시장의 리스크도 커지는 만큼 별도의 관리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한국은행 인천본부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증가 폭은 9천15억 원으로 코로나19 이후 정점을 찍은 4월(1조1천926억 원)보다 축소됐다.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규모 역시 4월 3천497억 원에서 5월 3천181억 원으로 증가 폭이 다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저축은행과 협동조합, 상호금융 등 인천지역 비은행금융기관에서는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각각 2.4배, 18배 늘어났다. 비은행권의 기업대출은 1천218억 원에서 2천964억 원으로, 가계대출은 31억 원에서 561억 원으로 증가 폭이 확대됐다. 이는 최근 4년 중 가장 큰 증가 폭이다.

비은행권 기업대출의 99%는 중소기업 운전(운영)자금과 시설자금 등을 위해 이용했고, 대기업은 이자가 낮고 부실 우려가 적은 시중은행을 통해 대출했다.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12.6%가 주택담보대출이었고, 나머지 87%가 신용대출 등으로 이뤄졌다. 5월 기준 인천 전체의 기업대출 누적액은 58조8천여억 원, 가계대출액은 48조1천여억 원에 이른다.

전문가들은 2∼4월 중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이 시중은행에 풀린 공적 지원을 받다가 코로나19가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장기화하자 제2·3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려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대출원금 상환 추가 유예와 부실 대출 관리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 인천본부 역시 이 같은 현상이 코로나19 여파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한은 인천본부 관계자는 "예금은행의 대출 증가 폭이 소폭 축소됐지만 여전히 예년에 비해 대단히 높은 수준이며,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 규모 급증도 큰 틀에서 코로나19 여파로 가계와 기업의 상황이 침체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