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용 인하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산학협력교수
전승용 인하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산학협력교수

이렇게 오래갈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코로나19로 우리 일상은 크게 바뀌었고, 익숙하고 당연했던 것들의 소중함을 새삼 깨닫게 된 반년이었다. 코로나19는 많은 분야에 걸쳐 교류와 협력이라는 가치가 위협받는 시간을 초래했다. 특히 문화예술분야에서 그 타격은 즉각적이고 직접적이었다. 장기화되는 코로나19로 인해 문화소비 총량이 감소됐으며, 많은 문화예술산업 종사자들이 생업의 존폐 기로에 서게 됐다. 

처음에 우리는 코로나19가 빨리 종식되기를 희망했지만, 지금은 ‘With Corona’라는 말처럼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할 것이라는 현실적인 자각과 함께 현 상황에서 행복과 발전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과거 유럽의 흑사병 창궐은 너무나 참혹했지만 인간중심의 르네상스라는 꽃을 피웠듯이, 코로나19로 인한 현재 상황은 단기적으로 볼 때에는 힘들고 고통스러운 시간이지만 인류사 전체로 볼 때 어쩌면 또 다른 도약을 위한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문화예술분야에서도 이제 우리는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아니, 코로나19와 함께하며 교류, 협력, 상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문화예술분야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크게 생산과 소비 측면으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 표면적으로는 생산적인 측면에서의 문제가 더 커 보이지만 이는 소비 감소와 연관된 문제이므로 장기적으로 볼 때 필자는 문화예술소비, 문화예술 향유의 안정화를 위한 정책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문화예술분야의 고용안정, 예술인 생활안정, 온라인 예술 콘텐츠 창작이나 서비스 지원 등과 관련된 정책도 현재 시점에서는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문화예술 역시 시장경제 논리에서 예외일 수는 없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문화예술 향유, 소비 측면에서의 안정화에 중점을 둔 정책이 연구되고 개발돼야 할 것이다. 즉, 문화예술 생산자 측면에 초점을 둔 직접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문화예술 수요자의 향유를 위한 다양한 방안 모색이 간접적이지만 장기적이고 발전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코로나19 언택트 시대에 소외 없이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문화예술 교육 측면에서는 현재 온라인 콘텐츠 개발 지원에 초점을 맞춘 사업들이 많이 생겨났다. 현재 인천시교육청과 인하대학교에서 초·중·고등학교에 출강하고 있는 예술 강사들에게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것이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어디서든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사업과 같이 온라인 영상 콘텐츠를 통해 일반 시민들이 문화예술 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언택트 교육은 현 시점에서 매우 필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사업들은 대개 문화예술 생산자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이러한 온라인 예술 수업이 제한적이지만 나름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문화예술 교육 수요자 측면에 대한 고려와 지원 역시 균형 있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교육 수요자가 언택트 문화예술 교육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중지를 모아야 할 것이다. 문화예술 수요의 안정화를 위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코로나19는 어느 날 우리에게 갑자기 찾아왔고, 우리는 그것에 대비할 시간조차 없이 문제를 닥치는 대로 열심히 해결해 나가고 있다. 문화예술 관련 일자리 창출과 같은 단기간의 사업도 의미 있지만, 코로나19의 장기화 혹은 제2, 제3의 코로나를 대비해 보다 장기적인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코로나19 이후 세상은 코로나19 전과는 분명히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