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4활주로 인근에 추진 중인 항공정비단지 조감도. <인천공항공사 제공>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4활주로 인근에 추진 중인 항공정비단지 조감도. <인천공항공사 제공>

코로나19로 불황의 늪에 빠진 항공업계의 현실과 비용의 효율성 측면에서 항공정비(MRO) 육성사업을 한곳으로 모아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이 사업은 인천과 경상남도 사천으로 양분돼 있는데, 전문가들은 정부가 제시한 공항별 역할 분담<본보 7월 7일자 7면 보도>이나 정치권에서는 나오는 ‘투트랙 전략’ 등도 실행이 쉽지 않다고 지적한다.

2일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사천은 2017년 MRO산업단지(31만여㎡) 조성을 위한 정부 승인을 받았다.

사천 MRO단지는 지난해 착공해 2023년 준공될 예정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사업자로 나섰고, 2018년에는 국내 최초 MRO 전문기업인 한국항공서비스가 사천에 설립돼 저가항공사(LCC)를 대상으로 MRO 서비스도 시작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LCC업계가 최악의 경영난을 겪는데다, 한국항공서비스가 미국 연방항공청으로부터 특정 기종의 정비 능력만 인정받는 등 정비물량 수주가 크게 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도 2017년 공항건설 기본계획을 변경하며 4활주로 인근 115만㎡ 부지를 확보해 MRO단지 개발에 뛰어들었다. 2018년 정비계류장 등 에어사이드 포장구간 기본설계를 완료했고, 실시설계 및 착공 시점은 MRO기업 투자유치 상황과 연계해 조만간 확정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양측의 상생안으로 사천은 기체·중정비 위주로, 인천은 화물기 개조 및 엔진업체 유치로 대안을 제시했다. 인천 정치권에서는 사천은 군용기, 인천은 민항기라는 ‘투트랙’ 안도 내놨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해외 MRO 의존도가 큰 국내 상황상 대규모 MRO단지를 일단 한 곳에 조성해 운영하고, 수요가 늘어나 감당할 수 없을 때 제2의 단지를 조성하는 게 맞다는 입장을 보였다. 양 공항의 입지나 규모, 여객 수, 운항실적, 사업의 확장·지속가능성 등을 따져 볼 때 인천이 MRO 조성지로 더 적합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특히 MRO 정비고 안으로 들어온 비행기를 일단 정비하면 부품 탈·부착, 조립을 비롯해 기체 분해·수리, 엔진 검사·수리 등 경·중정비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해야 해서 경·중정비·엔진 파트를 분리하는 게 큰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부분 군용기는 공군 자체에서 군직 정비를 통해 수리를 소화하고 일부만 대한항공에 맡기고 있어 사천까지 정비물량이 가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항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군용기 정비를 민간에 더 많이 맡기려면 공군의 거대 직제 자체를 대대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항공학계의 한 관계자는 "300㎞인 인천∼사천 이동거리 문제는 크지 않고, MRO 서비스는 당연히 한 곳에 인력과 장비를 모아서 제공하는 구조인데 현재는 인천이 더 적합하다"고 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