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공연예술계에 대한 인천시의 지원책이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의 지역 문화예술인들을 위한 정책에 공연예술 분야는 상대적으로 부족해 예술가들이 아쉬운 목소리를 내고 있다.

6일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인천지역 공연예술 분야 매출액은 1억1천975만5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억4천303만8천 원)에 비해 89% 급감했다. 그나마 코로나19가 국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1∼2월 매출액(1억1천172만8천 원)이 상반기 전체 매출의 상당수를 차지했으며,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작된 3월에는 단 한 건의 공연도 열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 공연예술 성수기로 접어드는 하반기에도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7월 한 달 동안 인천지역 공연 상연 횟수는 33건에 매출액은 485만3천 원에 불과했다. 지난해 7월(상연 횟수 127건, 매출액 4억6천646만1천 원)과 비교하면 예술인들의 생계가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시는 지역 예술인들을 위해 국비 지원 사업인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지만 현재 공연예술계를 위한 일자리 지원 사업에는 소극적이다.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국·시·구비 41억5천200만 원을 들여 지역 곳곳에 예술작품 설치와 문화공간 조성, 도시재생, 미디어·온라인 전시, 주민 참여 공동체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공연예술계는 일자리보다는 대부분 재난지원금이나 창작활동 지원금 위주여서 예산 규모에서 차이가 크다.

시는 문화시설 폐쇄로 활동 기반을 잃은 예술인들에게 온라인 예술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지원 총액은 4억 원에 불과하다. 예술인들에게 창작지원금을 지급하는 2020 인천형 예술인 지원사업도 기존 5억5천만 원에서 코로나19로 긴급 지원 예산을 편성했음에도 2억 원을 추가하는 데 그쳤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역 예술인들 사이에서는 창작지원금보다는 비대면 공연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예지 청년인력소 대표는 "상반기 활동 기회가 전혀 없다 보니 예술인뿐 아니라 음향업체 등 관련 업종 종사자들까지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단순히 지원금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펜타포트 등 지역 행사에서 지역 예술인이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등 활동할 기회와 장을 제공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비 20억 원을 들여 지역 예술인 600여 명에게 재난지원금을 지원하는 등 예술인 지원에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아트센터를 포함한 공연시설이 차차 개방하고 하반기로 연기된 행사들도 개최되니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