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해 운영 중인 특별교통수단의 성공적 확보에 따라 광역통합운영 체계를 구축한다.
9일 도에 따르면 2018년부터 시·군 예산 포함 총 2천581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전국 지자체 최초로 특별교통수단 확보에 들어갔다.
특별교통수단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 의거해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 교통약자를 위한 휠체어 등의 장비를 장착한 차량을 말한다. 도는 2022년까지 법정대수 558대의 200%에 해당하는 1천116대 확보를 목표로 설정했고, 현재 98%(1천101대)를 확보하면서 조기 목표치 달성이 코앞에 왔다.
이에 따라 도는 특별교통수단을 활용한 광역통합운영 체계 확립을 추진한다. 현재 도내 12개 시·군에 한정된 특별교통수단의 운행지역 범위를 수도권 전 지역까지 확대해 교통약자 이동편의를 증대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31개 시·군과 협력해 전산운영시스템 연계성을 강화하고, 현재 시·군별 조례로 두고 있는 특별교통수단의 운행지역, 이용 대상 및 요금 등 운영기준을 정비한다. 또 보다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교통 및 전산시스템 전문가, 도의원 등 외부 자문위원을 위촉해 다양한 의견도 수렴할 계획이다.
도는 10일 경기도 인재개발원 다산홀에서 전문가 및 시·군 담당팀장이 모이는 전체회의를 열고 사업의 구체적 추진 방향을 설정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특별교통수단 확대와 광역운영은 교통약자들의 오랜 희망사항"이라며 "앞으로 시·군과 긴밀히 협력해 운영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준석 기자 bgmin@kihoilbo.co.kr
기호일보, KIHOILBO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