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인구수 300만 명을 바라보는 도시답지 않게 의사 부족 등 의료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지역 중 하나다. 지역 의대생 역시 모두 더해 봐야 89명에 불과해 증원 또는 신설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마침 정부는 ‘의대 정원 한시적 증원 방안’을 내놨다. 일각에서는 현장 소통 없이 의대 정원을 늘려선 안 된다며 강하게 맞서고 있지만, 의료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의대 확대 및 지역의사제 도입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본보는 정부의 이번 대책이 인천에 미칠 영향과 이를 기회로 삼기 위한 인천시의 역할 등에 대해 짚어 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의료인력. /사진 = 연합뉴스
의료인력. /사진 = 연합뉴스

인천은 ‘국내 3대 도시’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의료인력 등의 서비스가 타 지역에 뒤처져 있다. 지역에서 활동 중인 의사 수는 물론 병상 수도 비교적 적어 지역 의료서비스 개선이 더딘 상황이다.

1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인천은 인구 1천 명당 의사 수가 지난해 기준 1.7명이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9번째에 해당하는 수치로, 인구 규모에 비해서는 지역 의사 수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천과 함께 3대 도시로 꼽히는 서울과 부산은 각각 3.1명과 2.3명으로 인천보다 나은 수준이다.

인천은 중요한 의료자원으로 꼽히는 ‘병상 수’도 서울과 비교된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본부 임준(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교수가 발표한 ‘인천 공공보건의료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 분석 결과를 보면, 인구 10만 명당 상급종합병원 병상 수는 서울이 721개인 데 비해 인천은 454개에 불과하다. 인구 10만 명당 일반종합병원 병상 수 역시 서울과 인천이 각각 1천391개, 1천104개로 차이가 있었다.

의료자원 부족은 결과적으로 지역주민의 의료이용률 격차로도 이어지는 모양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같은 기간 서울 내 의료이용률은 전문질환군 입원 분야에서 93.4%에 달했지만 인천은 64.4%에 그쳤다. 심혈관 부문 의료이용률은 서울이 64.2%인데 비해 인천은 47.3%에 불과했다. 뇌혈관 부문도 서울 60.2%에 비해 인천은 38.4%로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결국 지역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서는 공공보건의료 책임성 강화 및 인력 양성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공공의료 핵심 인력 양성은 국립 공공의대 설립으로 보완하고, 공공보건의료기관 역량 제고 및 거버넌스 구축 등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지역 의료서비스가 도시 규모에 미치지 못하는 인천에도 해당하는 과제다.

임준 교수는 "공공보건의료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 기본적 삶의 질을 보장하는 필수 의료 분야로, 2020년 발전 과제로는 인력 양성 및 역량 제고,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한 책임성 강화 등이 있다"며 "지역이 자체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공공보건의료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의료체계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