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난사고가 발생하면 구조 장비와 출동 시간 여부에 따라 피해 정도가 결정된다. 바다에서 사고는 육지에서의 사고에 비해 구조대의 골든타임 내 도착시간이 늦다. 때문에 육지에서 사고에 비해 위험성이 높다. 전국 5개 해역에서 유일하게 대형 헬기 배치 계획이 없는 중부해역이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소식이다. 해양경찰청 자료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인천·경기지역이 포함된 중부해역에서 발생한 해난·조난 사고는 모두 2천139건이었다. 이는 올해 대형 헬기 예산이 반영된 제주해역(1천362건)이나 2022년 대형 헬기 배치가 확정된 동해해역(1천492건)보다 연간 200건 이상 많은 숫자라 한다. 

기상상태 불량 중 사고 건수 또한 남해해역이나 제주해역보다 연간 10회 이상 발생했다. 이처럼 사고가 빈발하는 중부해역에서 해난사고 발생 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구조 장비인 대형 헬기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는 해양경찰청이다. 대형 헬기만이 구조할 수 있는 정도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속수무책인 상태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현재 인천에 배치돼 운영 중인 중형 헬기는 대형 헬기에 비해 탑승 인원이 적고 풍속 제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악천후 원거리 해난사고 발생 시 대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의 안전불감증이 극에 달한 지는 이미 오래다. 대형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안전당국은 "안전을 강화해 앞으로는 이와 같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하곤 한다. 하지만 그때뿐이다. 사후약방문이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이다. 반복되는 사고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소는 잃었어도 외양간은 고쳐야 한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에 연해 있다. 이러한 국가가 바다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구조에 나설 수 있는 대형 헬기조차 절대 부족하다는 현실을 어떻게 봐야 하는가.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다. 우리도 이제 세계 경제 대국이다. 인구 5천만 명 이상인 나라 중 일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달성한 국가를 일컫는 ‘5030클럽’ 대열에 7번째로 오르기도 한 나라다. 국가 경제력이 약해서가 아니다. 안전에 대한 의식의 문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