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전경. /사진 = 기호일보 DB
수도권매립지 전경. /사진 = 기호일보 DB

‘발등의 불’이 된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문제와 관련, 경기도가 대체매립지 확보 지연 등에 대비한 도내 소각장 신·증설 및 매립시설 사용 지역 확대 등 ‘플랜 B’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양철민(민·수원8)의원이 도로부터 제출받은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시 도 대응 방안’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한 도의 최우선 대책은 ‘대체매립지 확보’다.

또 사용 종료 시까지 대체매립지가 조성되지 않을 경우 환경부·서울시·인천시와 2015년 맺은 4자 합의에 따라 현 매립지의 잔여 부지 최대의 15%(106만㎡) 범위에서 추가 사용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가 지난 12일 자체 폐기물 매립시설 조성계획을 발표하는 등 독자 행보를 가속화하면서 도 자체적인 쓰레기 매립·소각량 확대를 위한 대응책도 마련하고 있다.

도는 소각시설이 없거나 처리용량이 부족한 시·군과 민간 위탁 의존도가 높은 시·군에 대해 2025년까지 소각시설 신·증설 등의 확충을 협의하고 있다. 현재 도내 23개 시·군에서 26개의 소각장이 운영 중인 가운데 9개 시·군의 소각장을 신·증설함으로써 소각량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2026년 도내 쓰레기 소각 예상량은 1일 5천292t 수준으로, 현 소각시설 소각용량(1일 4천215t) 대비 20%가량 부족하지만 소각장 신·증설을 통해 최대 1천300t은 소각량을 추가 확보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도는 또 도내 매립시설을 보유한 9개 시·군(용인·성남·남양주·파주·안성·여주·연천·가평·양평) 중 현재 매립률이 60% 이하인 5곳을 인근 시·군에서도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시·군과 협의할 계획이다.

엄진섭 도 환경국장은 13일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기본적으로는 현 수도권매립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며 "다만, 난관에 봉착할 경우 보유 시·군에서만 사용하고 있는 매립시설을 권역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과 소각장의 신·증설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양 의원은 "인천시는 더 이상 경기도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며 "현 대책으로는 대비가 명확하지 않다. 도가 광역 차원의 확실한 종합계획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남궁진 기자 why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매립지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