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보도(11월 27일자)에 따르면 인천시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세계 각국과 손잡고 석탄에너지를 추방키로 했다. 박남춘 시장은 26일 송도국제도시에서 열린 인천시 탈석탄동맹(PPCA) 가입 선언식에서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며 "우리도 그 기조에 맞춰 인천시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 중 30%를 내뿜고 있는 영흥화력발전소 조기 폐쇄 및 LNG(천연가스) 전환 등을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PPCA는 석탄 사용을 중단하기 위한 국제연맹으로 OECD와 유럽연합 회원국은 2030년까지, 나머지 국가는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중단시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현재 111개 국가 및 지방정부, 기업·단체가 가입돼 있으며 한국에서는 충남·서울·경기에 이어 인천이 4번째다. 탈석탄은 당연히 가야 할 길이다. 재생에너지나 원자력발전 같은 청정 발전원에 비해 화력발전이 야기하는 직·간접 사회 비용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그중에서도 석탄은 세계 전력의 40%를 차지하는 주 전력원인데, 같은 화력발전 방식인 LNG보다도 단위 전력당 이산화탄소를 2배나 배출하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다. 

영흥화력발전소도 탈석탄으로 가는 게 당연하다. 문제는 속도다. 오염물질 배출이 심각한 1·2호기의 조기 폐쇄 및 나머지 3~6기의 LNG 전환이 ‘인천시가 목표로 한 기간 내에 이뤄지느냐’가 관건이다. 현재로선 영흥화력의 자구 계획이 시의 계획보다 느슨한 게 사실이다. 결국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결정이 인천시 탈석탄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지금 산업부가 월성1호기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으로 수사를 받고 있다는 점이다. 내부적으로 대통령 뜻을 열심히 이행한 대가로 수사를 받는다는 억울함이 깔려있을 수 있다. 이런 요인들이 영향을 끼쳐선 안 된다. 

탈석탄은 인류 생존과 직결된 문제로, 성공적 이행을 위해선 산업부 소관인 전력분야에서의 감축 노력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현안인 배출권 거래제와 재생에너지 촉진책은 물론 탈원전 재고까지 다양한 대안이 함께해야 풀어갈 수 있는 문제다. 그래야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분야의 안정성·경제성·환경성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산업부가 집중해야 할 에너지정책 최우선 과제는 탈원전이 아닌 탈석탄임을 명심하기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