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발과 외국인 투자유치에 집중해 온 기존의 경제자유구역(FEZ) 패러다임이 혁신성장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현장 중심의 산학융합형 교육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IFEZ 산학연관 협력, 지속가능한 혁신의 공동체 만들기’라는 주제로 3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G타워 민원동 3층 대강당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연구원, 인천대학교가 공동 주관한 ‘제4차 IFEZ 산업혁신 콘퍼런스’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유창경 인천산학융합원장은 ‘인천산학융합지구 산업단지 캠퍼스 운영 방향’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유창경 원장은 10월 29일 송도국제도시(2공구)에 문을 연 인천산학융합원을 소개하면서 "IFEZ의 산학협력을 위해서는 산업단지와 대학을 통합해 현장 중심의 산학융합형 교육시스템이 도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연구개발(R&D)-인력 양성-고용’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현장맞춤형 교육과 산학융합 R&D 프로그램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했다.
‘부산시 산학협력의 전략 방향 및 정책 체계’를 발표한 김병진 부산산업과학혁신원장은 IFEZ 내 대학 산학협력단과 지역 기업과의 협업 프로젝트 추진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행사는 지역 혁신을 주도하는 산학협력의 전략 방향 논의와 타 지역 성공 사례 공유, IFEZ 특성에 맞는 산학협력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한 지역 대학, 글로벌대학 캠퍼스 산학협력단 및 경제단체 관계자들은 자유토론을 통해 지역 내 산학협력사업 방향을 공유하고 산학협력 관련 정책 건의, 산학협력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그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원재 인천경제청장은 "콘퍼런스에서 나온 산학협력 전문가들의 고견은 IFEZ의 산학협력과 지속가능한 혁신성장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인치동 기자 airin@kihoilbo.co.kr
기호일보, KIHOILBO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