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경실련 제공
사진 = 경실련 제공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도 경기도내에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하는 데 14년이 걸린다는 시민단체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도내 아파트값이 지난 17년간 평균 2억6천만 원가량 오른 가운데 가격 상승 시기 대부분이 노무현·문재인정부 임기와 맞물렸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2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아파트 가격은 KB국민은행 등 부동산 시세정보를 활용해 2003∼2020년 도내 시·군 표준지에 있는 67개 단지 6만여 가구의 시세를 정권별로 비교·분석했으며, 노동자 연 임금은 통계청 고용 형태별 임금자료를 활용했다.

경실련 분석에 따르면 도내 99.1㎡ 규모 아파트 가격은 2003년부터 17년 동안 평균 2억 원에서 4억6천만 원으로 2억6천만 원이 상승했다.

경실련은 이 중 96%에 해당하는 2억5천만 원이 노무현·문재인정부 시기 상승액으로 조사됐다고 주장했다. 도내 평균 아파트 가격은 노무현정부에서 1억1천만 원(59%↑, 2억 원→3억1천만 원), 문재인정부에서 1억4천만 원(42%↑, 3억2천만 원→4억6천만 원)이 각각 올랐다는 분석이다.

특히 1기 신도시(분당·평촌·일산·산본·중동) 아파트는 문재인정부에서 가격이 가장 많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남시 분당 시범단지 우성아파트의 경우 105.7㎡가 17년간 3.3㎡당 평균 2천651만 원 상승했는데 문재인정부 임기 중에만 1천860만 원이 올랐다.

경실련은 또 문재인정부에서 근로자 소득은 연평균 3천400만 원으로, 도내 84㎡ 아파트를 사기 위해선 14년이 걸린다고 분석했다.

반면 박근혜정부에서 노동자는 연평균 3천100만 원을 벌었고, 도내 아파트 평균 가격은 3억2천만 원으로 임금을 모두 저축한다면 주택 구매를 위해 10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경실련은 "서울 아파트값은 더 폭등하고 경기도 아파트값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며 "정부는 이제라도 서민의 고통을 직시하고 실패만 반복한 땜질식 정책을 중단, 근본적 처방을 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궁진 기자 why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아파트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