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적 피해를 입은 인천시가 실업률 개선에 주력해 지역 청년 기 살리기에 나섰다는 소식이다. 통계에 따르면 인천지역 취업자는 지난해 12월 전년 같은 달 대비 5만2천 명 감소했으며, 실업자는 2만3천 명이 증가했다. 비경제활동 인구도 4만 명이 늘었으며, 임시휴직자 수는 5만3천 명에 달한다. 보도에 따르면 인천시는 이처럼 코로나 장기화에 따라 높아진 실업률을 개선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과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등 민생정책을 전개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달 중 뉴딜특별위원회 운영, 3월에 제2기 일자리위원회를 출범하고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위한 청년 및 중장년 일자리, 공공일자리 사업 등  다양한 사업 지원에 나선다.

청년 실업은 경제활동인구 사회적 부양 부담 증가, 인적자원의 비효율적 활용으로 국부 손실을 초래하기 마련이다. 높은 청년실업률은 일정 연령계층의 노동력 수급 구조의 불균형을 초래할 뿐 아니라 노동력의 신기술·신산업에 대한 적응력 감소를 가져와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개인에게는 좌절·자존감 상실을 경험하게 하고, 직장에서의 학습 기회 결여로 개인의 생산 잠재력에 손상을 준다. 따라서 불공정한 경제구조와 소득불평등 심화가 고착화되는 청년취업 현실의 극복 대책 마련은 시급한 일이다. 

오늘날 우리 경제는 고용 흡수력이 떨어졌다는 우려와 함께, 청년 일자리 창출이 사회문제화 된 지 오래다.  인천뿐 아니라 전국적인 청년실업 현상은 실직에 직면한 개인에게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 한 해는 코로나19 감염사태로 서비스업 등이 위축되면서 취업자는 줄고 실업자는 한층 더 증가하면서 남성, 특히 청년 실업 문제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물론 정부와 지자체는 청년실업률 개선을 위해 일자리 나누기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왔으나 어디에도 가시적인 성과는 보이지 않는다. 청년실업은 우리 경제의 악화는 물론, 안정된 직장을 갖지 못한 청년들이 결혼을 미루게 되고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적게 낳아 저출산 문제로까지 이어진다. 이처럼 청년실업은 단순한 일자리 창출에 그치지 않는 국가적, 사회적 차원의 문제인 만큼, 인천시는 청년층의 실질적인 욕구를 제대로 파악하고 정책에 반영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해 주기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