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이 역대 최악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20~50대 취업자는 직전 연도에 비해 55만7천 명 감소했다. 60세 이상에서 임시직 공공일자리 37만5천 개나 증가하며 간극을 줄였음에도 총 취업자는 22만 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 외환위기 이래 최대 감소 폭이다. 실업 통계에 잡히지 않은 현실도 절망적이다. ‘일시휴직자’는 83만7천 명으로 43만 명 늘었고, ‘그냥 쉬었음’은 235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그냥 쉬었음’ 중 48만6천 명이 대학교를 졸업한 청년 백수라는 것이다. 청년 실업률도 전체 실업률의 두배를 넘는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다. 물론 어떤 연령대든 일자리는 생계유지 수단 이상의 가치를 지니겠지만, 특히 청년층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 연령 특성상 생애 전반에 미치는 경력과 임금의 기회 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치명적이고 오래 간다. 국가적으로도 가장 가성비 높은 인적자원의 역량이 훼손됨으로써 잠재성장률에 막대한 손실을 끼친다. 단순히 고용지표나 개선하는 임시직 공공일자리로 접근해선 안 되는 이유다.

작금의 일자리가 줄어든 건 코로나19 영향이 크다. 소득주도성장 부작용과 산업 재편 영향도 컸을 것이다. 그렇다고 모든 분야가 줄어든 것은 아니다. 비대면 활성화로 오히려 일자리가 늘어난 곳도 많았다. 무점포 소매업, 출판 및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 택배업, 창고운송업에선 지난해 7만3천여 개의 일자리가 늘었다. IT업종과 신산업 분야도 성장했다. 배터리 업종, 가전제품, 반도체, 방송통신, 연구개발에서 3만3천 개 이상 일자리가 늘었다. 중요한 건 이러한 일자리 지각변동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 안에 세계적으로 집단면역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로선 우리나라도 그럴 가능성이 높다. 집단면역이 완성되더라도 일부 업종은 ‘비대면 서비스의 편리함 또는 익숙함을 통해 학습된 새로운 소비 패턴 및 정형화’로 계속해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국가 산업도 같은 맥락에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청년 일자리 정책은 바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도록 친시장·친기업적으로 설계될 때 실효성이 극대화될 것이다. ‘위기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느냐’도 결국 정부 정책에 달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