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장애인들의 일상적 건강관리를 위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생활건강권 정책과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의 ‘인천 장애인 건강권 보장을 위한 기초연구’에 따르면 인천 장애인의 건강관리 필요성은 매우 높지만 건강관리를 위한 제도적 여건은 미흡한 상황이다.

인천지역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은 평균 2.73점으로 중간값에 해당하는 ‘보통(3점)’에 미달한다. 조사 응답자 294명 중 76%인 224명이 만성질환이 있다고 답했고, 73.1%(215명)가 지난 2주간 아픈 적이 있다고 응답하는 등 건강수준이 낮은 편이다.

일상생활의 스트레스 정도는 ‘매우 많이 느낀다(5점)’ 혹은 ‘느끼는 편이다(4점)’라고 인식한 이들의 비율이 59.2%로 절반을 웃돌았다. 이러한 건강관리의 필요성에 비해 장애인들의 일상적 건강관리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장애인 당사자 6인을 포함한 16인의 심층면접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일방적 정보 ▶불충분한 장애인 편의 제공 ▶이동의 불편 ▶장소와 공간 부재 ▶사용할 수 없는 설비 ▶차별적 시선 등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건강관리를 위한 제도의 경우 인천은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직접적인 조례가 없고, 유관 조례로 의사소통 권리 증진조례나 장애인 친화도시 있지만 지원 대상이 제한적이고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장애인 건강권 관련 조례 개정을 통한 실효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봤다.

장애인 생활건강권 보장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로는 읍면동 단위의 건강불평등 및 건강행위 접근성 지표 구축과 지역사회 차원의 보건복지건강관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제안됐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