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우니까 채워진다. 그러려고 비운 게 아닌데 말이다. 신기루처럼 사라진 미래에 대한 공허함이 백년가게로 가득 채운다. 누구보다 자신 있어 시작했기에 일말의 후회는 없다. 실패의 기억은 쓰라리지만 그 흔적은 긴 인생항로에 방향타가 됐다. 백년가게가 가야 할 길 중 하나가 아닐까. 

공교롭다. 비우고 채우는 게 먹고사는 일이 됐다. 평생 함께 할 천연인 것이다. 채웠으니 또 나눠야겠다는 생각이 가득하다. 그렇게 신포순대는 하루를 시작한다.

서인성 신포순대 대표가 인천시 중구 신포동의 가게 내부 순대 제조시설에서 당일 만든 순대를 보여주고 있다.
서인성 신포순대 대표가 인천시 중구 신포동의 가게 내부 순대 제조시설에서 당일 만든 순대를 보여주고 있다.

# 신포동에서 만든 순대

백년가게 신포순대는 1978년 신포시장에서 창업했다. 창업자 김일순(73·여)씨가 좌판을 놓고 시작한 순대국밥이 시장 내에서 알아주는 먹거리로 인기를 누린 지 44년이 됐다. 쫄면, 닭강정, 만두, 공갈빵 등 다른 유명 먹거리 틈새에서 신포시장의 입맛을 사로잡았으니 맛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게다. 장사 시작 6개월 만에 가게를 얻으면서 노점생활을 청산했다. 

그 시절 김 씨에게는 밀려드는 손님에 늘 순대물량 확보가 고민거리였다. 그렇다고 검증되지 않은 식재료를 사용한 순대는 늘 피해야 했다. 결국 순대를 직접 만들기로 하면서 신포동에서 만든 순대 ‘신포순대’가 백년을 시작하게 된다. 쫀득하고 담백한 신포순대가 탄생한 것이다. 

신포순대 주방에서 직원이 손님에게 나갈 식사를 준비하며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신포순대 주방에서 직원이 손님에게 나갈 식사를 준비하며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 순대집 외아들, 양순대집 사장 된 사연

2대 사장 서인성(52)씨는 김 씨의 외아들이다. 가업을 이은 백년가게 사장으로는 몇 안 되는 해외 유학파이기도 했다. 웹디자인이 전공인 서 씨는 유학시절 생활비를 벌기 위해 시작한 아르바이트가 가게 운영에 더없는 자산이다. 해외에서 보고 배운 용돈벌이 덕에 제2의 신포순대 전성기를 맞고 있어서다. 

신포순대 초창기 시절 간판.
신포순대 초창기 시절 간판.

물론 눈물겨운 창업 실패는 없어서는 안 될 경험이기도 했다. 서 씨가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2002년은 대한민국에 창업 붐이 크게 일었던 시기이다. 2001년 8월 23일 IMF(국제통화기금)의 지원자금을 전액 상환하면서 다시 경제를 일으켜야 하는 시기로, 서 씨 역시 창업전선에 뛰어들었다. 사업아이템은 소시지, 다시 표현하면 ‘양순대’다. 순대집 외아들이 양순대를 만들어 판다는 얘기다. 어차피 순대라고 하면 매 맞을 얘기지만, 훗날 가업을 이을 수밖에 없는 인연의 시작이 심술궂다. 그래도 시작했으니 잘됐으면 좋았을 터인데 시국이 안 좋았던 것일까. 만들어 팔면 팔수록 손해가 나는 장사에 배겨날 수가 없었던 서 씨는 결국 실패라는 쓰라린 경험을 했다. 

서 씨는 "선진지 입맛을 국내에 적용해 젊은 층을 사로잡기에는 시국이 나에게는 안 맞았던 것 같다. 가장 큰 문제가 물가에 맞지 않는 가격이었는데 결국 문을 닫게 됐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소시지 사업 실패 이후에도 서 씨의 도전은 계속됐다. 이어서 추진한 사업이 신포순대의 프랜차이즈화다. 이를 위해 그는 한양대학교에서 ‘HACCP(해썹) 교육과정’을 수료했다. 해썹은 식품 생산부터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최종 단계까지 품질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신포순대 프랜차이즈 역시 쉽지는 않았다.

서 씨는 "신포순대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시작한 프랜차이즈 사업이었다"며 "똑같은 국밥 육수와 순대라고 생각했는데 본점에서 체인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맛이 변하면서 본점과 같은 고객 유치에는 실패했다"고 전했다. 

대표메뉴 사골순대국밥.
대표메뉴 사골순대국밥.

# 제2의 전성기 신포순대

실패했다고 다 끝난 건 아니다. 지루한 얘기지만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했던가. 처절한 실패의 양분은 더 좋은 결실을 맺었다. 코로나19 시국에 다 힘들다는 자영업자들에게 서 씨는 괜스레 소극적인 모습이다. 손님도 줄고 매출도 줄었는데 말이다. 비결은 소시지에서 얻은 신메뉴 개발에 있었다. 고추순대, 카레순대 그리고 염지족발로 새로운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었던 것이다. 어머니대에서 완성한 신포순대에 서구의 햄 제조 기법을 접목해 재해석한 것이다. 

신포순대 식당 전경.
신포순대 식당 전경.

이를 위해 서 씨는 아예 지하에 순대공장을 차렸다. 여느 프랜차이즈 사업장 못지않게 철저한 식재료 관리부터 재료 생산까지 도맡으면서 내실을 차곡차곡 다지고 있는 그다. 

그런 서 씨에게는 코로나19가 되레 신포순대의 미래를 구상하는 계기가 됐다. 신포순대만의 메뉴를 온라인에서도 판매하게 된 것이다. 순대 물량은 직접 생산해 조달하니 주문량이 많아도 감당할 수 있는 사업이다. 

이렇게 시작된 온라인 사업은 코로나19로 줄어든 매출을 만회하는 결과로 되돌아왔다. 현재 매장 매출 60%, 포장주문 40%를 기록 중이다. 

서 씨는 "백년가게들이 코로나19로 많이 힘들어하고 있다. 오지도 않을 손님을 기다리면서 장사를 하면서 많은 것을 깨달았다. 신포순대가 시작한 온라인 판매는 인천 백년가게들에게도 꼭 필요한 사업이 될 것이다. 옆에서 도울 수 있을 듯하다"고 말했다. 

안재균 기자 ajk@kihoilbo.co.kr

사진=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