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형 인천시교원단체총연합회장
이대형 인천시교원단체총연합회장

인천형 혁신학교 ‘행복배움학교’ 사업이 시작됐을 때 교육계는 많은 기대와 희망을 갖고 있었다. 초기에 혁신학교에 기대했던 것들이 어떻게 진행됐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인천형 혁신학교인 소위 ‘행복배움학교’의 존속 및 지속 여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기가 됐음을 인지하고 교육청은 이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다. 

첫째, ‘20세기 교실에서 19세기 교사가 21세기 아이들을 가르친다’라는 말을 쉽게 들을 수 있을 정도로 공교육 신뢰가 땅에 떨어진 상황에서 교사는 물론 학생과 학부모 모두 신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학교를 만드는 일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학교로서 행복배움학교(행복학교)가 시작됐다. 과연 이 기대는 이뤄졌을까? 행복학교는 일반학교와는 다른 지원을 받고 있다. 학급당 인원수도 적고, 행정인력도 더 지원 받는다. 이런 혜택이 지속된다면 위에서 언급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언제까지 행복학교를 유지할 것이며 일반학교로 전환됐을 때에도 이런 성과가 가능할 것인가? 또한 이를 일반학교로 확산시킬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행복학교에 지원되는 각종 혜택은 일반학교의 희생 속에서 주어진 혜택임을 명심해야 한다. 즉 인천의 모든 학교에 동일한 조건을 제공할 수 없다면 행복학교의 모든 성과는 ‘그들만의 리그’에서의 성과에 지나지 않는다. 공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혁신학교 성과가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 

대폭적인 예산 지원 및 행정 지원을 통해 이룬 성과를 혜택이 주어지지 않는 학교에 일반화할 수 없으니 동일한 조건을 줘야 한다면 새로운 모델로서의 가치는 상실되는 것이다. 처음부터 모든 학교에 동일한 조건의 혜택을 부여해야 마땅한 일이다. 학교 간 차별과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행복학교 증대는 마땅히 재고돼야 할 정책이다. 행복학교 증대는 주변 학교의 교육 환경을 더욱 열악하게 만드는 지름길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둘째, 민주적 학교운영 체제를 바탕으로 윤리적 생활공동체와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만들어가고, 학생이 안전하고 평화로운 학교 문화 속에서 교사들은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며 학생들은 자존감을 키우고 창의적 교육과정으로 민주시민으로서 역량을 성장시키는 학교라는 기대이다. 초기 행복학교는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운영됐고, 이를 통해 새로운 교육 매뉴얼이 등장하기를 모두 기대했다. 

학교가 처한 상황이 모두 다르지만 의사 결정이나 기타 민주적 학교 운영 등을 담보하는 모델학교로서의 역할을 모두가 기대했으리라 생각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일례로 초기 행복학교에서 근무하던 교사의 타 행복학교로 전출 비율이 생각보다 높지 않고 최대 50%까지 가능한 초빙 비율도 절반 정도만 채워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행복학교 근무가 교사에게는 그리 행복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지는 못했던 것 같다. 

우리의 기대대로 행복학교가 주는 시너지 효과가 크다면 행복학교는 많은 행정적 지원과 재정 지원을 바탕으로 모두가 되고 싶은 학교가 될 것이다. 하지만 그런 교육 환경을 지향하는 교사가 점점 줄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행복학교 근무가 실제적으로 교사에게는 매우 버거운 일이라는 증빙이 된다. 이는 초기 행복학교에서 근무하던 교사들이 요구하지 않던 인사상 혜택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초기 거창한 기대와는 다소 어긋나는 현실을 반증하는 것이고 이런 시스템을 일반학교에 적용하기는 더욱 어렵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누군가는 행복은 배우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이라고 했다. 행복을 배우겠다는 시도 자체가 어떤 목적을 지니게 된다는 지적이 있다. 우리는 학교에서 교육공동체가 행복을 느끼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학교에서 행복을 배우려는 시도보다는 학교 시스템이 교사나 학생에게 행복을 느끼도록 바꾸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행복학교에서 근무하는 것이 힘들어서 다음 전출 학교는 행복학교를 기피한다면, 지금까지 지원도 모자라 더 많은 혜택을 요구해야 한다면 이미 이 정책은 더 이상 실효성이 없는 정책이 된 것이라 생각된다. 공약을 지키기 위해 기계적으로 늘려 나가는 무모함을 버리고 진정 공교육 혁신 모델로서 행복학교가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다시 한번 ‘우리에게 행복학교는 꼭 필요합니까? 라는 질문을 던져 본다. 이제 교육청은 이 물음에 대답해야 할 때가 온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