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인천 소재 국제기구와 적극 협력해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국제사회와 소통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8일 인천연구원이 발표한 ‘인천시 기후환경 분야 국제기구 협력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시는 장기 비전과 전략 수립을 목적으로 2014년 10월 ‘인천시 국제교류협력 및 국제도시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시는 이 조례를 근거로 5년 단위로 국제도시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국제기구 관련 업무는 국제협력담당관실에서 총괄한다. 주로 인천 소재 국제기구와 지역사무소의 행·재정적 지원에 집중된다. 시의 국제개발협력사업 관련 예산의 90%는 국제기구 지원사업에 투입되기 때문에 편중됐다는 분석도 나왔다.

GCF(녹색기후기금)와 UNOSD(유엔 지속가능발전센터), EAFFP(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UNDRR(유엔 재난위험경감사무국) 등 기후·환경 분야 국제기구는 환경기후정책과와 안전정책과에서 별도로 지원 업무를 추진한다.

시가 직접 추진해 온 국제기구 협력 사업은 주로 기후·환경 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에 집중된다. 이는 예산과 사업의 규모가 크고 국제사회의 위상이 높은 GCF의 역할이 크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인천연구원은 인천시가 현재처럼 운영 지원에만 머물지 않고 GCF를 중심으로 한 국제협력사업의 추진 전략을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천시가 강점을 가진 기후·환경 부문 국제협력사업 추진을 위해 ‘인천-송도 이니셔티브’를 마련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인천의 특성을 반영한 기후·환경 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의 플랫폼도 구축이 가능하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초기는 자매우호도시 또는 국제기구의 개발도상국 네트워크 활용도 가능하다. 사업 추진에 대한 국제기구의 네트워크와 각 기관의 역량을 활용하면 다른 국제기구의 자발적인 참여도 유도하게 된다.

강민경 인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전 지구의 신기후 체제 대응을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이 중요해지고 지속가능 발전의 핵심 과제인 도시 지속가능성에 대한 지자체의 역할과 책임이 강화되는 추세"라며 "인천 소재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지자체 차원의 협력 방안을 모색해 환경 분야에서 국제사회에 기여해야 한다"고 했다.
김유리 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