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전병규 일병의 화랑무공훈장을 전달 받은 아들 전진한 씨가 훈장과 훈장증을 바라보고 있다.
故 전병규 일병의 화랑무공훈장을 전달 받은 아들 전진한 씨가 훈장과 훈장증을 바라보고 있다.

"무공훈장을 받은 순간 얼굴도 모르는 아버지를 만난 듯싶었습니다."

1952년 태어난 전진한(70)씨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전사한 전병규(당시 24세)일병의 아들이다. 아버지는 아들의 출생을 모를 가능성이 높다. 임신한 아내를 남겨 두고 입대한 뒤 강원도 철원의 전장에서 산화했기 때문이다.

어렵게 할머니 손에서 자란 진한 씨 역시 아버지의 얼굴을 모른다. 사진은커녕 사용하던 물건이나 유품도 하나 없다. 집안에서 아버지와 관련된 이야기를 듣지도 묻지도 못했다. 아버지는 그저 아득한 그리움이자 안타까운 원망의 대상이었다. 전쟁에 가족을 빼앗긴 피해자인 그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에 마음속으로 아버지를 원망할 때도 있었고, 일가를 이룬 뒤에도 아내와 자식들에게조차 아버지 이야기를 꺼내기 어려웠다"고 한다.

그러던 진한 씨가 아버지에 대해 편안하게 말하게 된 계기는 지난해 9월 아버지의 훈장이 전수된 이후부터다. 어린 시절 할머니의 손을 잡고 보훈 관련 관공서를 오가던 기억은 있으나 아버지에게 수여가 결정된 무공훈장이 있다는 사실은 전혀 몰랐다. 나라를 위한 아버지의 희생에 대한 작은 보답이 70년이라는 세월을 넘어 아들에게 닿은 셈이다.

강원도 철원지구 백마고지 전투에서 공을 세운 고(故) 전병규 일병은 화랑무공훈장 대상자였다. 그러나 주소지 등이 명확지 않아 훈장이 전수되지 못하고 수훈자 명단에만 남았다. 화랑무공훈장은 대한민국 네 번째 무공훈장이다. 전투에 참가하거나 접적(接敵)지역에서 적의 공격에 대응하는 등 전투에 준하는 직무 수행으로 뚜렷한 무공을 세운 사람에게 수여하도록 상훈법에 규정됐다.

늦게나마 전병규 일병의 무공훈장이 아들에게 전달되기까지는 국방부의 ‘6·25전쟁 무공훈장 주인공 찾기’ 사업이 한몫했다. 국방부는 2019년 7월부터 육군본부에 조사단을 꾸려 지방자치단체의 협조 하에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을 진행 중이다. 조사단은 주소지 없이 본적지만 남았던 전병규 일병의 병적을 근거로 지자체의 협조를 받아 탐문과 추적을 거쳐 유족인 아들을 찾아냈다. 긴 여정 끝에 훈장은 지난해 9월 8일 수원시청에서 아들 진한 씨에게 전수됐다.

그는 "아버지 얼굴도 모르고 70년을 살았는데, 훈장을 받으니 아버지를 만난 듯이 가슴이 두근거렸다"며 무공훈장을 받던 당시 심경을 또렷하게 기억했다. 이어 "늦게나마 훈장을 전달받아 다행이고, 아버지가 더 자랑스럽고 고맙다"며 촉촉하게 젖은 눈으로 영롱하게 빛나는 훈장을 바라봤다.

아버지의 훈장은 출가한 자녀들과 손주들은 물론 친구들에게도 큰 자랑거리다. 명절이면 가족들이 모여 차례상에 훈장을 올려 두고 나라를 위해 싸운 자랑스러운 ‘할아버지의 아버지’를 추모한다. 가족 얘기를 꺼낸 적 없던 친구들에게도 훈장을 자랑했다. 아버지 대신 복장을 갖춰 입고 가슴에 기장을 달고 행사장에 나설 때면 어쩐지 어깨가 더욱 곧게 펴지곤 한다.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수원시지회 선양단이 국가유공자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수원시지회 선양단이 국가유공자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아버지의 무공훈장을 받은 이후 진한 씨는 국가유공자들을 위한 봉사에 발 벗고 나서기 시작했다. 훈장을 받은 유공자와 유족 대표만 참여 가능한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수원시지회에 가입한 뒤 ‘국가유공자 선양단’으로 활동 중이다. 선양단은 세상을 떠나는 유공자들의 마지막을 애도하며 정중하게 예를 갖춰 마중하는 봉사단체다. 운명을 다한 참전용사의 빈소를 찾아 근조기를 설치하고 경건하게 추모식도 진행한다. 유족들은 참전용사의 마지막을 정성껏 마무리하는 선양단을 향해 "국가유공자의 가족으로서 나라를 사랑한 고인의 마음을 이어받아 책임감 있는 국민으로 살아가겠다"며 감사를 표한다.

진한 씨는 "세상을 떠나는 참전자들이 아버지의 전우일지도 모른다는 마음으로 선양단 봉사에 참여하면서 아버지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된다"며 "힘이 닿는 데까지 선양단 활동을 통해 아버지 같은 참전용사들을 위해 봉사하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수원시지회 황선한 사무국장은 "전쟁의 비극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며 "얼마 남지 않은 참전용사들의 마지막 가시는 길을 예우하는 일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원하길 바란다"고 했다.

칠순의 진한 씨에게는 간절한 소원이 하나 남았다. 아버지의 유해를 찾는 일이다. 전장에 흩어진 아버지의 유해를 찾고 싶은 마음에 진작 유전자 시료를 제출하고 유해발굴단의 활동 소식에 귀를 기울인다. 그는 "70년째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아버지의 유해를 찾아 현충원에 비(碑)라도 하나 세우는 일이 마지막 소원"이라고 간절한 마음을 전했다.

국방부는 수원시와 같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6·25무공훈장찾아주기조사단’을 운영, 대한민국을 지켜낸 숨은 영웅에게 훈장을 전달한다. 훈장 대상자들의 본적지를 찾아 제적등본을 확인하고 유족을 추적하는 등 각고의 노력으로 2019년 7월 시작 당시 5만6천여 명의 대상자 중 1만8천여 명의 훈장 주인공을 찾았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경기지역에서 민·관·군 협업으로 ‘6·25 전사자 유가족 찾기’를 집중적으로 추진 중이다.

늦게나마 주인공을 찾은 화랑무공훈장.
늦게나마 주인공을 찾은 화랑무공훈장.

수원시는 국방부에 적극 협조해 오는 28일 한국전쟁에서 우리나라를 위해 싸우다 희생한 3명의 국가유공자 가족에게 무공훈장을 전수할 예정이다. 보병 제56연대에 소속돼 전북 남원 옥천지구에서 패잔병 소탕 작전 수행 중 부상을 입어 제대한 고(故) 박채일 이병, 5사단에 소속돼 1952년 강원도 고성지구 351고지 전투에서 공을 세운 고(故) 하규철 중사, 한국전쟁 막바지였던 1953년 7월 수도사단 1연대에 소속돼 강원 금화지구 원동리 전투에서 공을 세우다 전사한 고(故) 김종식 상병의 무공훈장이 뒤늦게나마 유가족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한편, 수원시에는 독립유공자,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등 총 1만여 명의 국가보훈대상자가 거주한다. 나라를 위해 헌신하고 희생한 유공자들을 예우하고, 이들의 복지를 증진하고자 보훈명예수당을 지급하고, 사망 시 위로금도 지급한다. 또 명절과 보훈의 달인 6월이면 보훈가족과 보훈복지시설을 위문하고, 현충일 추념식 등 보훈행사에도 정성을 다한다. 또 수원에서 활동하는 보훈단체 9곳을 지원하는 한편, 현충탑 등 5개 보훈시설도 관리한다.

수원시 관계자는 "우리의 오늘이 위대한 애국의 희생 위에 이뤄졌다는 사실을 잊지 않고 보훈가족에 대한 합당한 예우로 나라를 사랑하고 희생했던 소중한 정신이 빛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안경환 기자 jing@kihoilbo.co.kr

사진=<수원특례시·무공수훈자회제공>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