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경기도 소상공인 점포 수 순증가세가 둔화됐다고 한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투자나 사업 시도가 크게 위축되면서 점포 개업 수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폐업이 크게 늘었다는 인식과 달리 상인들이 버티면서 폐업이 크게 늘지 않은 반면 개업에 대한 우려가 더 높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도는 현재진행형으로 치닫는 경기 침체에 따른 지역경제 여파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고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최근 발간한 ‘경기도 소상공인 경제이슈 브리프-소상공인 폐업률 현황 진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경기도 소상공인 연평균 개업률은 15%, 폐업률은 11%였다. 개업률이 폐업률보다 높아 점포 수는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2021년 비교 시 폐업 수는 4.6% 감소한 반면 개업 수는 훨씬 더 큰 폭인 17.2%의 감소율을 보였다. 이에 순증가 점포 수는 2019년 2만3천871개에서 2021년 1만2천446개로 47.9% 급감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로 많은 소상공인 폐업이 우려됐지만 경기도 소상공인 폐업률은 2019년 11.5%에서 2021년 10.7%로 오히려 0.8%p 감소했다. 같은 기간 개업률은 15.5%에서 12.6%로 2.9%p 감소, 개업률 감소가 폐업률 감소를 웃돌았다. 

 경상원은 경기도 소상공인 점포 순증가 수 감소의 원인은 ‘폐업률 증가’가 아닌 ‘개업률 감소’에 있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생맥주 전문점, 컴퓨터게임방 운영업, 당구장 운영업 순으로 폐업률이 높았다. 폐업의 주된 원인으로 코로나19 이전에는 ‘매출 부진’, ‘개인적 이유’를 꼽았으나 코로나 이후에는 ‘매출 부진’, ‘임대료, 인건비 등 비용 부담’이 심화되고 ‘개인적 이유’는 크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개업률은 최근 5년간 경기도 31개 시·군에서 감소한 가운데 특히 코로나19가 유입된 2020년부터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만시지탄이지만 민선8기 경기도가 고물가·고금리 상황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도내 경제주체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 정책 협의체를 운영한다고 한다. 이것으로 할 바를 다했다고 손을 놓는 일은 없어야 한다. 앞으로도 민생현장으로 나가 직접 고충을 파악하고, 추가로 내놓을 지원책은 없는지 거듭 고민하기 바란다. 그만큼 소상공인들의 사정은 절박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