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로 물난리가 났다. 집과 도로가 속수무책으로 잠기는 모습에 2017년이 겹쳐 보였다. 7월의 마지막께 쏟아진 폭우로 인천 곳곳이 물에 잠긴 날이었다. 당시 신입 기자 티를 벗지 못한 기자는 인명피해가 난 미추홀구 동양장사거리 골목을 돌며 나름대로 원인 파악에 분주했다.

지대가 낮은 곳에 3시간 사이 100㎜ 넘는 비가 쏟아졌고, 빗물은 빠질 새 없이 반지하 가구를 삼켰다. 온갖 쓰레기로 막혀 버린 배수구도 피해를 키우는 데 한몫했다. 그 쓰레기들 중 상당수는 담배꽁초였다.

얼마 전 아침 운동에 나서는 길이었다. 부평구 A고등학교 교문 앞에서 청소 중인 직원을 봤다. 학생들이 등교하기 전 교문 앞을 치워 두려나 보다 생각하며 지나가는 찰나, 그 직원은 빗자루로 싹싹 쓸어 모은 쓰레기들을 고스란히 배수구로 도로 집어넣었다. 길은 깨끗해졌고, 허리를 편 그의 얼굴엔 뿌듯한 표정이 스쳤다. 담배꽁초를 배수구에 욱여 넣은 사람들의 심정이 저러했을까 싶었다. 거리를 더럽히진 않았으니 잘한 일이라고.

배수구가 담배꽁초로 꽉 찬다 한들 여전히 길에 나돌아 다니는 꽁초 역시 적지 않다. 

뛰면서 쓰레기를 줍는 ‘줍깅’ 캠페인을 여는 청년기획자를 인터뷰하면서 알게 된 사실이다. 공원 벤치든 계단이든, 널찍한 돌멩이든 사람이 머물러 가는 공간 주변에는 어김없이 담배꽁초가 버려진단다. 순간 무척이나 생소했던 옆 나라의 휴대용 재떨이가 떠올랐다. ‘내가 피운 담배꽁초는 내가 가져간다’는 인식이 어디서 자랐는지 궁금하다.

인식의 부재 속에 길에 버려진 담배꽁초는 긴 여행을 떠난다. 바람에 날려, 빗물에 휩쓸려 강으로, 또 바다로 흘려간다. 50일이 넘는 역대 최장 장마가 이어졌던 2020년 인천지역 연간 해양쓰레기 수거량 6천589t 중 40%인 2천686t은 6월부터 8월 사이 장마철에 발생했다. 막대한 쓰레기에 섞여 바다로 흘러온 담배꽁초는 미세플라스틱으로 바다를 부유하다 인간의 몸으로 들어온다. 해양생물이 섭취한 미세플라스틱을 인간이 다시 섭취하면서 축적되는 악순환이다.

이번 폭우로 모두의 상심이 큰 상황에서 한 시민의 의로운 행동이 빛났다. ‘강남역 슈퍼맨’이라고 칭해진 시민은 강남역 인근의 배수구를 막은 쓰레기를 맨손으로 치웠다. 쓰레기를 치우기 전 종아리까지 찼던 빗물은 순식간에 빠졌다고 한다.

이름 모를 누군가가 버린 쓰레기가 침수피해를 키웠고, 또 얼굴 없는 누군가가 치운 쓰레기가 피해를 줄였다. 빗물이 넘실거리는 날이면 인천 앞바다엔 해양쓰레기가 밀려들겠지만, 오늘도 한 청년은 거리를 달리며 담배꽁초를 주울 테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