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모 경인여자대학교 교수
박정모 경인여자대학교 교수

이미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가 어린아이 인구보다 더 많고, 생산인구는 감소 중이다. 

노인 인구가 너무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노인 돌봄 문제가 사회적 관심으로 더 부상되고 있다. 1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이에 따라 홀몸노인도 많아지고 있다. 이제는 자녀가 성장해 독립하고 나면 홀로 나이 들어 가고 죽음을 맞이해야 하므로 스스로 변화하는 과정을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평균 83.5세, 건강수명은 73세로 추정하므로 이 사이 10년 정도는 질병과 함께 살다가 사망하는 것으로 본다. 

점점 증가하는 기대수명만큼 건강수명을 늘리는 일은 매우 어렵다. 즉, 기대수명이 증가할수록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삶을 영위해야 하는 시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건강하지 않은 삶을 지속하는 건 돌봄에 의지하는 시간이 점점 지속됨을 의미한다. 노인 돌봄 문제는 단순하게 질병과 함께하는 10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노인이 되면서 기능 수준이 저하되는 것이 삶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된다. 기력이 저하되고 허약해지면서 사소한 것부터 지속적으로 도움을 받아야 삶이 편안하게 유지될 수 있다.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인지기능과 신체기능 수준이 점점 저하되는 시간을 오래 경험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기능 수준이 저하될 때 초기에는 주변 사람들이 정상과 구분하지 못한다. 그래서 도움 받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젊은 노인들은 기능 수준이 저하될 때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결국 도움을 받는 것도 유리한 대상과 불리한 대상이 생긴다. 

상대적으로 젊은 노인과 경제활동을 여전히 하는데 기능 수준이 저하되고 허약해지는 노인, 그리고 여성 노인들이 도움이 필요할 때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된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선 필요한 도움을 지속적으로 받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본인의 생활을 흔들리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지시키고, 기능 수준 역시 오래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공적 돌봄 체제는 더 이상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하지 않은 수준일 때 개입한다. 혼자서 고군분투하면서 살아가야 하는 시간이 지나야 돌봄 체제의 혜택을 보게 된다. 

공적 돌봄을 받기 전까지 경제적·인적 자원이 충분한 노인들은 그 공백을 메우면서 본인에게 남은 기능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노인이나 홀몸노인, 필요한 도움을 적절한 시기에 받지 못하는 노인들은 기능 수준이 빠른 속도로 악화될 수 있다. 

노인 인구가 많아지면서 돌봄 체제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비용과 돌봄 서비스 대상, 다양성에 대한 고민을 해 봐야 한다.

많은 노인들이 독립적 삶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돌봄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 지금까지 사각지대에서 돌봄 대상이 충분히 돼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소외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공적 돌봄 체제로 진입하기 전 이미 노화가 진행되고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이 저하돼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필요할 때 지속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반적인 돌봄 체제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