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피해 눈덩이" 양돈농가 불안감 호소

야생멧돼지 확진에 방역문제 지적

2019-10-13     정진욱 기자
DMZ 멧돼지 사체서 돼지열병 바이러스 검출 (CG) /사진 = 연합뉴스

정부와 경기도의 ‘극약처방’에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인해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피해 농가와 지역을 중심으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농가의 돼지를 전량 수매하는 방법을 동원해 전염 매개체 차단을에 나섰지만 야상 멧돼지 사체에서 바이러스가 잇따라 검출되면서 경기도를 벗어나 타 지역으로 추가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기 때문이다.

13일 농림축산식품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까지 도내에서 총 9건의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이 이뤄지면서 총 55농가의 11만987마리에 대한 살처분이 이뤄졌다. 방역 당국은 김포, 파주, 연천을 핵심 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해당 지역 148가구에서 사육 중인 21만722마리(김포 9가구·1만8천849마리, 파주 63가구·5만7천957마리, 연천 76가구·13만3천916마리)의 수매 및 도태를 하고 있다.

이날 현재까지 수매는 계획농가 대비 35% 수준인 52가구의 1만7천843마리가, 도태는 계획농가 대비 30% 수준인 45가구의 3만9천281마리가 이뤄졌다.

하지만 이 같은 전량 수매, 도태로 바이러스 추가 확산을 차단하는 방식에 대한 양돈농가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정부가 파주, 김포에 이어 지난 9일부터 연천 지역의 농장 사육 돼지에 대한 수매·살처분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대한한돈협회는 13일 성명을 내고 "파주·김포에 이어 연천에 대해서도 돼지 전(全) 두수에 대해 살처분을 하기로 결정한 것을 강력하게 반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한돈협회는 "연천군 전 지역 살처분이라는 특단 조치는 접경지역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잇따라 검출되면서 그 시효가 끝났다"며 "감염 주요 원인인 멧돼지보다는 집돼지 살처분이라는 정책은 정부 방역의 기본을 벗어난 것으로 철회돼야 한다"고 방역 대책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 11일 연천과 철원의 DMZ 남쪽 민통선 안에서 발견된 야생 멧돼지 폐사체 2마리의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ASF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다. 당국이 사육돼지를 전량 수매를 통해 전염을 차단하고 있음에도 야생 멧돼지에서 발병함에 따라 추가 확산에 대한 우려도 높아진다.

농식품부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ASF 상황점검회의를 통해 철원·연천 내 일부 지역의 야생멧돼지 포획을 허용하는 등 관계부처 합동 긴급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