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후 인천 송도국제도시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와 제약바이오의약품실용화센터 개소식이 열리고 있다.
25일 오후 인천 송도국제도시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와 제약바이오의약품실용화센터 개소식이 열리고 있다.

유럽(아일랜드), 미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가 문을 열었다.

25일 인천 송도국제도시(7공구)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 및 제약바이오실용화센터 공동 개소식이 개최됐다.

개소식에는 정일영 국회의원과 이강구 시의원,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 윤동섭 연세대총장 등 내외 귀빈과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연세대 국제캠퍼스 안 4천326㎡의 터에 자리잡은 센터는 인천을 글로벌 바이오 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이끌 전망이다.

건축총면적 6천598㎡에 지상 4층 규모로 지어진 센터는 93종의 장비와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GMP) 기준의 첨단 실습시설, 품질관리(QC) 실습실, 원료 보관 및 유틸리티(Utility)실, 강의실, 사무실, 운영지원실 등을 갖추고 있다. 

산업통상부와 보건복지부는 2020년 10월 ‘한국형 바이오의약품 공정·개발 전문 인력양성센터’ 사업지로 인천을 선정했으며 인천경제청은 2023년부터 센터 구축에 나섰다. 선진 바이오공정 교육시스템을 갖춘 센터는 향후 연간 2천 명 규모의 바이오 전문인력을 배출할 예정이다. 

시설 운영과 관리는 시와 인천경제청, 인천테크노파크가 맡고교 육 커리큘럼은 연세대가 주도해 석사급 학위과정과 재직자·구직자 등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해 현장 수요에 맞는 실무형 바이오 인재 양성에 나설 계획이다.

인천경제청은 세계보건기구(WHO), 보건복지부와 협력해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GTH-B)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글로벌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기본교육을 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에는 연세대 K-NIBRT(한국형 나이버트) 실습교육센터와 인천대 바이오융합ICC센터(기업협업센터), 싸이티바 아시아태평양 패스트트랙센터, 써모피셔 바이오프로세스 디자인 센터 등 바이오 인력양성 인프라가 집적돼 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센터 개소로 앞으로 바이오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요구하는 전주기 맞춤형 인재 배출이 가능하게 됐다”며 “송도를 중심으로 인천이 바이오산업 일자리 창출 및  바이오클러스터의 초격차 도약, 산·학·연 생태계 활성화, 세계 시장 진출 등 선순환 혁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인치동 기자 airin@kihoilbo.co.kr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기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