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행정 혁신을 이룰 AI 광명 추진 3개년 계획에 공무원과 시민 의견을 반영한다.
시는 25일 시청에서 AI 광명 추진 계획 수립 중간보고회를 열고 그동안 추진했던 공무원과 시민 설문조사, 인터뷰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계획에 반영할 전략과 과제를 논의했다.
AI 광명 추진 계획은 국정과제인 AI 3대 강국 도약과 발맞춰 시 특성에 맞춘 AI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활용 전략과 단계별 추진 로드맵을 마련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 만족도를 향상하는 게 목적이다.
지난 9월 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해 지난달 7일 동안 공무원 82명, 시민 2천9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자동화된 행정 ▶증거 기반 정책 ▶간소화된 절차 ▶신뢰할 수 있는 행정 ▶포용적 서비스 ▶적응형 조직 등 계획에 반영할 전략을 6개로 압축했다.
공무원 설문조사에서는 문서 작성·검토(28.3%), 자료 수집·검색(22.5%), 단순 데이터 입력(19.6%) 등 반복적, 비효율 업무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AI 기반 문서 자동 작성, 데이터 검색과 정리 자동화로 공무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자동화된 행정을 실현할 계획이다.
시민 조사 결과 행정 서비스 이용 때 느낀 불편은 대기 시간(26.8%)이 가장 많았고, 이어 정보 부족(24.1%), 절차 복잡(22.9%), 접근성 문제(18.8%) 순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 네 가지를 시민 관점의 핵심 개선 과제로 삼고 민원 대기 예측·분산 시스템, AI 기반 안내 서비스, 절차 자동화를 통해 간소화된 절차를 구축한다.
AI 기술 도입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분야는 안전과 재난, 교통과 주차, 민원과 서류 발급 순으로 조사됐다. 시는 이를 1차 우선 도입 분야로 설정해 관련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시민들은 AI 도입 때 우려되는 점으로 개인정보 유출(29.7%), 디지털 격차(28.7%) 등을 꼽았다.
시는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고령자와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친화적 서비스, 다국어 통역 등 포용적 서비스를 강화하고, AI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과 보안·익명화로 신뢰할 수 있는 행정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무원 대상 AI 역량 교육, 전문 인력 양성, 부서 간 협업 체계 마련 등을 통해 ‘적응형 조직’을 만드는 데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광명=김영훈 기자 yhkim@kihoilbo.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