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강동·하남·남양주선 광역철도에 대해 제출된 각 지역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반영할 수 없다는 의견을 내놓으면서 하남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하남시가 서울 강동구와 함께 건의한 일부 구간 조기 개통 및 급행·일반열차 동시 운행도 공청회 이후 반영되지 않았다.
1일 기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지난달 21일 진행된 ‘강동·하남·남양주선 광역철도 기본계획(안)’과 관련해 진행된 공청회에서 접수된 ▶943(강동)∼944(하남)정거장까지 일반열차 연장 운행 ▶강일∼미사구간 2028년 개통 ▶일부 정거장 위치 변경과 관련해 ‘미반영’ 의견을 내놨다.
강동·하남·남양주선은 9호선 연장선으로 급행열차로만 운행되는 노선이다. 하남시는 강동구와 ▶943∼944정거장 통합공구 추진 및 2028년 조기 개통 ▶943∼944정거장 일반열차 연장 운행 등에 대해 4월부터 TF를 구성하면서까지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4월 30일에는 경기도에, 5월 14일에는 서울에 공동건의문을 제출했다.
양 지자체는 943·944정거장 이용 인원이 하루 6만5천 명에 달해 일반열차로 수요를 분산할 필요가 있고, 943∼944노선이 이미 2016년 제3차 국가철도망에 반영됐음에도 이후 남양주 왕숙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에 포함되면서 사업이 지연됐다며 조속한 개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미사강변시민연합 박여동 회장은 "그동안 9호선 연장선이 남양주 왕숙신도시와 함께 지어져야 한다면서 수차례 계획이 바뀌는 동안 미사는 기반시설 부족으로 큰 피해를 겪고 있다"며 "일반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것도 강동 방향으로 가는 미사 주민들에게 환승 등 교통 불편을 감당하라는 내용밖에 되지 않는다"고 했다.
하남시 관계자 역시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급행열차만 운행할 경우 교통 혼잡, 환승 불편 등이 예상된다"며 "기본계획에 반영되지 않아도 향후 실시설계 단계에서 반영 가능성이 있는 만큼 지속적으로 도에 요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도는 일반·급행열차 추가 운행의 경우 ▶곡선구간 내 분기기 간섭 ▶차량구입비 및 회차선 추가 설치비용 발생 등 문제가 있을뿐더러 조기 개통 역시 실시설계나 착공 등 지정된 절차를 진행하기엔 물리적 시간이 부족하다며 반영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차량구입비나 회차선 추가 설치비용은 170억 원가량으로, 타당성 재조사 대상임에 따라 사업기간이 1년 이상 지연될 우려가 있다. 정거장 추가 등 나머지 사항들도 이와 비슷한 상황"이라며 "주민 요구사항대로 사업을 진행하면 좋겠지만, 검토 가능한 범위를 벗어난 만큼 이대로 기본계획 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했다.
박종현 기자 qwg@kihoilbo.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