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책무를 찾아볼 길이 없다. 지역 업체 육성과 경제 활성화는 안중에도 없다. 복지부동과 무사안일이 뿌리 깊은 ‘구태(舊態)’만 있을 뿐이다.

부동산 업계에서나 있을 법한 잇속만 꿈틀된다. 인천항만공사(IPA)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토지매매 양해각서(MOU)를 맺은 북인천복합단지가 그 짝이다. 지역 업체들은 매매 협의를 하자며 IPA에 애원도 했다. 그때마다 IPA는 핑계에 핑계를 덧대 손사래를 쳤다.

자금 능력이나 사업 수행능력에 대한 검증은 남의 일이었다. 투자가 곧 성공인 것처럼 떠들어대던 북인천복합단지는 공공기관 짬짜미에 투기장으로 전락할 판이다.

본보는 북인천복합단지가 가야할 방향을 짚어 본다. <편집자 주>


▲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달 25일 인천항만공사가 소유한 서구 경서동 1016, 1016-1 일원 82만5천㎡ 규모의 북인천복합단지에 대한 매입의사를 밝혔다. 사진은 경인아라뱃길 진입 항로 작업에서 나온 준설토로 메워 2015년 준공한 북인천복합단지. <기호일보 DB>
북인천복합단지(82만5천338㎡)는 인천 서구 경서동 1016 일원 공유수면을 메운 준설토 투기장이다. 2009년 경인아라뱃길의 진입 항로를 개설하며 퍼 낸 준설토로 새로운 땅을 만든 것이다. 인천항만공사(IPA)는 1천억여 원을 들여 투기장 조성공사 시작한지 4년 5개월만인 2015년 11월 준공했다. 이 땅은 매립 전부터 어떻게 활용할 지를 두고 다양한 목소리가 나왔다.

IPA는 물류단지로 염두했다. 국토교통부도 경인아라뱃길을 운항하는 화물선의 환적과 유통을 위해 물류단지가 적합하다고 봤다.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생각은 달랐다.

물류단지는 경인항 인천·김포터미널 부지면 충분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대신 경제자유구역의 특성을 살려 관광·레저단지로 조성하자고 주장했다. 시는 물류단지로 못박으면 향후 용도 변경이 어렵다며 유보지로 남겨야 한다고 했다. 시와 인천경제청, 인천지방해양항만청(현 인천지방해양수산청),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모여 협의했지만 결론은 쉽게 나지 않았다.

중앙 정부와 지자체간 의견이 엇갈리며 별다른 진전이 없자, 북인천복합단지는 송도유원지 중고차 단지의 대체 부지 중 하나로 거론됐다. 연수구 옥련동 송도관광단지 4블록은 2012년부터 중고차 수출업체들이 하나 둘씩 들어서며 소음과 분진 등 각종 민원이 빗발치기 시작했다. 시는 연수구, 인천경제청, 인천도시공사, IPA 등과 대체부지를 찾아 나섰다. 후보지로 꼽힌 땅은 북항 청라 준설토투기장과 송도 아암물류2단지, 북인천복합단지 등지였다. 이 중 청라 준설토투기장은 IPA가 이미 2010년부터 중고차 전용 수출단지로 점 찍었다.

하지만 용역 결과, 부지가 너무 작고 경인아라뱃길 물류단지가 활성화되면 수요를 빼앗길 우려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송도 아암물류2단지는 인천경제청이 송도 주민들을 이유로 반대하고, 북인천복합단지는 IPA가 고부가가치 산업을 유치하겠다며 반대했다.

결국 북인천복합단지는 정부의 공공기관 부채 감축 계획에 따라 2014년 3월 매각하기로 결정됐다. 북인천복합단지 조성에만 1천억여 원이 든 데다가 인천신항과 남항 배후부지 개발까지 맞물리며 IPA의 부채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IPA 부채는 2008년 344억1천802만 원에서 북인천복합단지 준공 시점인 2015년 6천32억5천196만 원으로 17.5배나 증가했다. 기획재정부는 북인천복합단지를 골든-하버 부지, 서구 경서동 부지, 월미도 갑문 친수공간 등과 함께 비핵심자산 매각 대상으로 선정했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