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보원 ㈔글로벌녹색경영연구원 교수
서보원 ㈔글로벌녹색경영연구원 교수

기업은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人格體)’이다.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망의 가치사슬(value-chain) 시너지로 움직이는 법인(法人)이다. 경제성장, 사회 안정과 통합, 환경보전이 조화를 이루며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영속체(going-concern)’이므로 지속가능발전이 전제돼야 한다.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의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책임을 바탕으로 현 세대가 미래 세대가 사용할 자원이나 자산을 미리 당겨 쓰거나 훼손하지 않고 보존하거나 개선하며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경영하자는 것이다. 기업 경영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적 이슈(Environmental issue)와 사회적 문제(Social issue)를 해결하려는 투명한 의사결정(Governance)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속가능경영의 성과는 재무적 수치나 정보로 수준을 비교하기 어려운 비재무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공통의 기준인 ESG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ESG는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비교·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공통의 지표로, 기업 간 비교를 통해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활용된다. 지금까지 기업의 궁극적 목표는 이윤 추구를 위한 기술 혁신이었다. 품질은 높이고 단가는 낮추며 납기를 잘 지키므로 경쟁력을 키우는 사이클이었다. 그러나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기술은 인류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최우선 수단으로 인식되고, 산업 발전을 위한 혁신적 기술보다 환경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에 더 주목하게 됐다. 이에 따라 기업의 이윤 추구는 환경과 사회, 사람을 중시하는 가치 창출을 위한 ‘ESG 경영’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ESG는 단순히 재무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윤리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투자’를 위한 지표가 된다. 그러므로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친환경 제품을 최우선으로 사용하며, 폐기물 처리에도 능숙한 기업이 더 높은 점수를 받게 된다. 또한 품질 경쟁력이 앞선 기업보다 고객을 먼저 생각하고 아낌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착한 기업을 선호하게 된다. 특히 MZ세대의 의미 있는 소비, 선한 소비가 바로 이것이다. ESG 경영의 최종 목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 성장을 추구하고, 사회적 이익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ESG의 특징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개선하는 비재무적 기준이라는 점에 있다. ESG는 기업 재무제표에는 드러나지 않지만 중장기적 기업 가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가 된다. 막연히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기준에 부합하는 좋은 일을 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아니라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개선하는 기준으로 볼 수 있다. 과거엔 기업 이익 중 일부를 좋은 일에 사용하는 것이 최선이었다면, 지금은 착하게 버는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준수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것이 ESG와 기존 사회공헌활동과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공헌활동(CSR)’은 기업의 관점에서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기 위한 활동을 경영에 통합시키는 것이라면, ESG는 투자자의 관점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에 투자하기 위한 정보를 가리킨다. 다시 말해 CSR는 기부나 후원 등의 자발적 돕기 수준으로 어떻게 보면 기업으로서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그러나 ESG는 기업의 행동이 미치는 영향 등을 구체화하고 그 노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지표화해 투자를 이끄는 것이다. 

그리고 CSR보다 진화된 개념인 ‘공유가치창출(CSV)’은 기업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CSR는 선행을 통해 사회에 기업의 이윤을 환원하는 것이고, CSV는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와 지역사회의 요구가 만나는 곳에 사업적 가치를 창출해 경제적·사회적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를 쉽게 설명하면, 학교에서 선생님께서 공부 잘하는 학생에게 숙제를 내어주셨다고 하자. 숙제 내용은 성적이 미진한 학생을 도와 성적이 향상되도록 하라는 것이다. 이때 공부 잘하는 학생이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희생해 가면서 선행으로 친구를 도와 성적 향상이 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CSR이라면,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쏟아부으면서 친구의 성적 향상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자신의 실력 향상도 되는 계기가 돼 평소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면 이는 CSV의 실천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친구의 성적 향상은 물론이고 자신의 실력도 같이 키우는 상생의 개념으로 보는 관점이다. 여기서 친구를 도와 성적이 향상되도록 하라는 선생님의 숙제, 즉 이슈가 바로 ESG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면서 이익을 추구하는 ESG 경영은 단순한 마케팅이나 기업 홍보를 위한 기부나 자선 활동이 아닌 명확한 비전 아래 기업 가치를 높일 것을 강조한다. ESG 경영의 주된 목적은 착한 기업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성 시대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라는 복합적 위험에 얼마나 잘 대응하고 지속적 경영으로 이어 나갈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래 세대들과의 상생을 위한 기업의 지속가능발전·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각 기업은 ESG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이를 어떤 방식으로 경영에 접목하고 투자에 활용해야 할지를 고민하고 준비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