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뇌졸중센터가 주도한 연구팀이 뇌신경보호제의 다기관 임상 2상을 성공하고, 그 연구 결과를 미국심장학회가 발행하는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 ‘Stroke’ 최신 호(11월)에 게재했다. 

이번 임상은 아주대병원 뇌졸중센터 홍지만 교수팀이 주도하고 아주대병원·길병원·충북대병원·경북대병원·조선대병원·을지대병원·계명대병원이 참여했다.

연구팀은 각 병원 뇌졸중센터를 내원한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 총 208명을 대상으로 뇌혈관을 막는 혈전을 제거하는 혈전제거술을 하기 전 위약(플라시보, 70명), 뇌신경보호제 저용량(총 2천750㎎, 71명), 뇌신경보호제 고용량(총 5천250㎎, 67명) 그룹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어떤 약물군인지 모르는 세 그룹을 12시간 간격으로 총 5일 동안 약물을 투여해 효과를 비교했다.

임상시험 대상자는 미 국립보건원(NIH) 뇌졸중 지수 8점 이상 중등도 이상으로, 이는 주요 큰 동맥이 막힌 상태로 대부분 보행이 힘든 상태다.

약물 투여 12주(3개월) 뒤 실시한 유효성 평가 결과, 뇌졸중 장애 평가 척도인 수정랭킨척도(mRS) 분석을 완료한 환자는 총 183명이었다. 이 중 mRS 점수가 0~2, 즉 도움 없이 일상을 어느 정도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한 정도로 회복된 비율을 살펴보면 위약 그룹 33명/61명(54.1%) 저용량 그룹 40명/65명(61.5%) 고용량 그룹 36명/57명(63.2%)으로 약물 투여군이 투여하지 않은 그룹보다 비율상 높게 나타났다.

또 내원한 환자가 퇴원할 때 mRS 점수가 0~2가 될 배율을 확인하는 공통 승산비는 위약이 1배라고 할 때 저용량 그룹은 1.55배, 고용량 그룹은 1.61배로 약물을 투여한 그룹에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날 확률이 1.5배 이상이었다. 

홍지만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계 최초의 다중 표적 뇌신경 보호제 다기관 임상에서 처음으로 안정성과 증상 완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마치 소닉 붐(sonic boom, 음속 폭음)처럼 뇌신경 치료제 개발에 시초가 되길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또 "더욱이 이번 연구 결과가 Stroke에 게재되면서 기구를 넣어 혈전을 제거하는 기계적 재개통술을 이용한 뇌신경 보호 방법과 재관류 손상 억제 치료제의 병행 치료가 전 세계 뇌졸중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는다"고 덧붙였다.

이번 논문 제목은 ‘Nelonemdaz for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Undergoing Endovascular Reperfusion Therapy:A Randomized Phase II Trial(급성 허혈성 뇌졸중 내혈관 재관류 치료를 받는 환자를 위한 Nelonemdaz:무작위 2상 임상시험)’이다.

 백창현 기자 bc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